✔️ linux란

Linux는 1991년 Linus Torvals(리누스 토발즈)가 개발한 운영체제이다. Linux는 오픈소스이며 누구나 코드를 볼 수 있다.

Linux는 시스템을 운영하는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운영체제이다.

Linux File System Hierarchy (FHS)


Linux의 파일 구조는 tree 형태로 되어 있다.

FHS의 가장 위에 / 디렉토리가 있다. Root 디렉토리(directory)라고 한다. 디렉토리는 윈도우스의 폴더와 동일한 개념이다.

시작점인 root 디렉토리 안에 여러 하위 디렉토리들이 있고 각 하위 디렉토리들 안에 또 하위 디렉토리들이 있는 식이다. 각 디렉토리들은 slash(/)로 구분한다. 예를 들어, root 디렉토리 안에 home이라는 하위 디렉토리가 있고 그 안에 eun이라는 하위 디렉토리가 있고 또 그 안에 bin 이라는 디렉토리가 있다면 해당 bin 디렉토리까지의 경로는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home/eun/bin

특정 디렉토리로 이동할 수 있는 cd 명령어를 이용하여 root 디렉토리로 이동하는 경로는 입력하면 다음과 같다.
--> cd /

cd 명령어 다음에 가고자 하는 디렉토리 경로인 root 디렉토리 /를 입력한다.

✔️ 환경변수

환경 변수, environment variable 에서 환경은 현재 돌아가고 있는 shell을 뜻한다. 따라서 환경 변수란 shell의 어떠한 설정 값을 가지고 있는 변수를 뜻한다. 그리고 이러한 환경 변수들은 shell이 돌아가는 동안 계속 존재하며 사용된다.

🔸 환경 변수들 중 꼭 이해해야 하는 변수는 PATH이다. PATH 환경 변수는 명령어들을 찾을 수 있는 경로들을 저장해놓은 환경 변수이다.

우리가 명령어를 사용할 때 정확한 경로를 입력하지 않고 그냥 명령어만 입력하여 사용한다. 명령어들도 결국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정확한 경로를 알아야 shell이 찾아서 실행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터미널에서 잘 실행된다.

그 이유가 바로 PATH 환경 변수 때문이다. 명령어를 사용할 때 만일 경로가 지정되지 않으면 shell이 PATH 환경 변수에 저장되어 있는 경로들을 하나 하나 보면서 실행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위치를 찾아 실행시킨다.

✔️ Shell

shell은 터미널 환경에서 운영체제의 커널과 사용자의 유저 스페이스를 이어주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사용자의 명령어를 운영체제에 전달하여 실행되게 하고 그 결과물을 유저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OS를 동작하게 되는 근본이 된다.

Terminal과 Shell은 다르다. 터미널은 쉘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다. 터미널에서 Bash를 실행시킬 수도 있고 ZShell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 . 파일

.으로 시작하는 파일 및 디렉토리는 숨김파일로 간주된다. lsa옵션을 주면 확인 가능하다.

✔️ 리눅스 명령어

0개의 댓글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