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액트에서 Lazy Loading을 구현하는 방법은 주로 코드 스플리팅(Code Splitting)을 통해 비동기적으로 컴포넌트를 불러오는 것 이다. 코드 스플리팅은 애플리케이션 번들을 더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필요한 컴포넌트를 필요한 시점에 로드할 수 있게 해준다.
코드 스플리팅(Code Splitting)
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JavaScript 코드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방문할 때 한 번에 모든 JavaScript 코드를 다운로드하는 대신 필요한 코드 조각만 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초기 로딩 시간이 단축되고 사용자 경험이 향상됩니다.
Lazy Loading
은 코드 스플리팅의 한 형태로, 필요한 코드를 "게으르게" 또는 "지연해서" 로드하는 개념입니다. 주로 모듈 또는 컴포넌트 수준에서 사용됩니다. 사용자가 특정 기능이나 페이지로 이동하거나 특정 이벤트를 트리거할 때 해당 모듈 또는 컴포넌트가 로드됩니다.
나의 목표는 초기 로딩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였다.
따라서 작은 규모의 프로젝트에서는 CRA의 React.lazy와 Suspense를 사용하는 것이 간단하고 편리할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필요한 경우 나중에 더 복잡한 번들링 및 동적 로딩 기능을 추가로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큰 규모의 프로젝트나 특별한 요구 사항이 없는 한 CRA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활용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