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딥다이브 / 15장 let, const 키워드와 블록 레벨 스코프

ungnam·2023년 6월 16일
0
post-thumbnail

let 키워드

변수 중복 선언 금지

var 키워드와 달리 이름이 같은 변수를 중복 선언하면 SyntaxError가 발생함

블록 레벨 스코프

함수 이외에도 모든 코드 블록(if · for · while · try/catch문 등)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함

변수 호이스팅

console.log(foo); // (1)

let foo;
console.log(foo); // (2)

foo = 1;
console.log(foo); // (3)

변수 선언초기화 단계가 한 번에 진행되는 var 키워드와 달리 let 키워드의 경우 선언초기화 단계가 분리되어 진행된다.

(1) : 변수 선언문 이전에 위치, 변수 호이스팅에 의해 암묵적으로 선언 단계가 실행되나 초기화되지 않은 <uninitialized> 상태로, 접근 시 ReferenceError 발생
(2) : 변수 선언문에서 초기화 단계가 실행되어 undefined가 출력
(3) : 할당문에서 할당 단계가 실행되어 1이 출력

스코프의 시작 지점부터 초기화 단계 시작 지점(변수 선언문)까지 변수를 참조할 수 없는 구간을 일시적 사각지대(TDZ)라고 부른다.

전역 객체와 let

let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는 더 이상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가 아니다.
-> 보이지 않는 개념적인 블록(전역 렉시컬 환경의 선언적 환경 레코드, 실행 컨텍스트 파트에서 자세히 설명) 내에 존재하게 된다.

const 키워드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반드시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해야 하며, var, let 키워드와 달리 재할당이 금지된다.

상수 - 원시 값의 경우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에 원시 값을 할당할 경우 할당된 값을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해서 상수로 표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수의 이름은 대문자로 선언하며, 여러 단어로 이뤄진 경우에는 스네이크 케이스로 표현한다.

값이 객체인 경우

const 키워드는 재할당을 금지할 뿐 불변을 의미하지 않음
따라서 프로퍼티 동적 생성, 삭제, 프로퍼티 값의 변경을 통해 객체를 변경하는 것은 가능하다. -> 객체가 변경되더라도 참조 값은 변경되지 않기 때문

var vs let vs const

  • ES6를 사용한다면 var 키워드는 사용하지 않는다.
  • 재할당이 필요한 경우에 한정해 let 키워드를 사용, 이 때 변수의 스코프는 최대한 좁게 만든다.
  • 변경이 발생하지 않고 읽기 전용으로 사용하는 원시 값과 객체에는 const 키워드를 사용, const는 재할당을 금지하므로 var, let보다 안전하다.
profile
꾸준함을 잃지 말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