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원교육당시 받았던 파이썬 기억을 되집으면서 작성해본다. 그때 당시에는 파이썬에 관심이 많아서 많이 찾아봤었는데 역시 자주 사용하지 않고 안쓰다보니 다 까먹나 보다. 지금이라도 적어놓고 나중에 한번씩 꺼내봐야겠다.
12월에 사내 평가가 있어서 하는건 비밀
리스트 ['abc',123]
java의 ArrayList
인덱싱 , 슬라이싱 기능 제공
만들어진 값에 대한 수정 가능
리스트 안의 값들은 여러개의 데이터타입을 갖을 수 있음.
a= [] / a = list() 형태로 리스트선언 가능
for문에 자주사용 enumerate : 리스트의 인덱스, value를 같이 출력
리스트 함수
- append(value) : list에 value를 추가
- index(value) : list에 해당 value가 있는 index를 return
- len(list) : 리스트의 전체 항목의 개수를 return
- count(value) : 리스트의 value의 개수를 return
- del() : 리스트 삭제 or 범위를 넣을경우 해당 리스트의 범위값들을 삭제
- pop() : 리스트의 가장 마지막 값을 삭제
- remove(value) : 리스트에서 value를 삭제. 여럿일경우 가장 빠른 index를 제거
- map(조건,list) : for문의 역할. list의 각 value에 조건을 적용
a = [10,20,30,40];
for i in a:
print(i);
b = [10,20,30,40];
for index,value in enumerate(b):
print(index,value);
0 10
1 20
2 30
3 40
c = [10,20];
c.append(30);
print(c)
[10,20,30]
d = [10,20,30,40];
d[0:3]; // [10,20,30]
d[2:4]; // [30,40]
d[::2]; // [10,30]
e = [10,20,30];
e[1:2] = [200,201]; // e = [10,200,201,30]
e[1] = [200,201]; // e = [10,[200,201],30]
f = [10,20,30,15,20,40]
f.index(30); // 2
f.pop(); // [10,20,30,15,20]
f.remove(20); // [10,30,15,20]
g = [i for i in range(10)]; // [0,1,2,3,4,5,6,7,8,9]
h = [i for in range(10) if i % 2 == 0] // [0,2,4,6,8]
i = [1.2,2.5,3.7,4.5]
i = list(map(int,i)) // [1,2,3,4]
튜플 ('abc',123)
java의 List
인덱싱, 슬라이싱 기능 제공
만들어진 값에 대하여 수정 불가
a = () / a = tuple()형태로 튜플 선언
딕셔너리 {key1 : value1 , key2 : value2, ...}
java의 Map
key & value쌍으로 구조화 되어있음.
딕셔너리 함수
- items() : 튜플 형태로 키와 value 모두 return
a = {'학번' : 1000 , '이름' : '테스트'}
for k,v in a.items():
print(v); // 1000 , '테스트'
range()함수
aa = list(range(10))
[0,1,2,3,4,5,6,7,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