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정리 #기록

도메인, domain

위코드 기업 협업에 참여하며 공부한 내용을 정리 & 회고 한 내용입니다. 기업협업 2주차에는 하나의 서비스를 골라 NoSQL 로 데이터 모델링을 해보고 있다. 관련 내용은 이후에 포스팅할 예정인데 그 과정에서 알게 된 도메인이란 개념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볼까 한다. 이

2022년 10월 25일
·
0개의 댓글
·

컴퓨터 구조 기초

유튜브 기술노트 with 알렉 영상을 보고 정리한 내용입니다.!youtubedF1BHjt3Bdc!youtubeJ06SirxZG7M컴퓨터 구조는 크게 CPU - 메모리 - 디스크로 구성되는데 이를 폰노이만 구조라고 한다.CPU는 계산을 담당하는 프로세서로 대표적으로 실제

2022년 10월 24일
·
0개의 댓글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Cloud Computing Services

위코드에서 공부하며 정리한 내용입니다. 사진 출처, westudy개발이나 테스트 목적이 아닌 실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서비스하는 서버를 말합니다. (로컬 환경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로컬에서만 동작) 운영 서버는 트래픽 대응, 빠른 응답 속도와 가용성을 보장해 안정

2022년 9월 24일
·
0개의 댓글
·

데이터베이스, 기본 개념

위코드에서 공부하며 정리한 내용입니다.데이터베이스는 컴퓨터 시스템에 저장된 정보나 데이터를 모두 모아놓은 집합입니다. 데이터 모양은 대략 엑셀의 스프레드 시트와 비슷합니다. (모두 그렇진 않습니다.) 이런 데이터들은 보통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DBMS, Databa

2022년 9월 17일
·
0개의 댓글
·

브라우저 동작과정, 렌더링 엔진, 파싱

정종윤님의 재그지그 기술블로그 내용을 요약 정리했습니다. 더 자세하고 친절한 설명은 원본 글을 참고하세요.

2022년 9월 16일
·
0개의 댓글
·

Path parameter, Query Parameter 기초

위코드 파운데이션 과정을 들으며 정리한 내용입니다.서로 다른 데이터이지만 resource(자원)의 종류가 동일 할 때 Path parameter 를 사용합니다. path 는 경로 parameter 는 매개 변수입니다. 아래처럼 product 의 1이라는 변수를 사용해

2022년 9월 11일
·
0개의 댓글
·

RESTful API 기초

위코드 파운데이션 과정을 들으며 정리한 내용입니다.REST API 란 REST 하게 API를 서술하는 방법입니다. REST 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의 약자로 상태를 전달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통신이란 특정 자원(데이터)를 어떤 방

2022년 9월 11일
·
0개의 댓글
·

JWT, JSON Web Token 기초

위코드 파운데이션 과정을 들으며 정리한 내용입니다.JWT(JSON Web Token) 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정보를 JSON 개채로 안전하게 전송하기 우한 개방형 표준입니다.(access token 을 만드는 방법 중 하나) JWT 는 JSON 개체에 기본정보, 전달

2022년 9월 9일
·
0개의 댓글
·

팀 프로젝트에 Git & Git Hub 사용하기. 깃 깃허브

위코드 파운데이션 과정을 들으며 정리한 내용입니다.리모트는 원격 저장소인 깃허브 공간을 말합니다. 로컬은 내 컴퓨터에서 작업하고 있는 프로젝트 폴더 공간을 말합니다. 레파지토리는 한 리모트에만 연결될 수도 있지만, 여러 리모트 공간에도 연결 가능합니다. 각 리모트 마다

2022년 8월 31일
·
0개의 댓글
·

깃, 깃허브 - git & github

위코드 프리코스 과정을 들으며 정리한 내용입니다.Git 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 VCS (Version control System)으로 파일의 변경 사항을 추적해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변경 사항을 기록하고 특정 시점의 버전으로 돌아갈 수 있게 해주며 프로젝트 중

2022년 8월 28일
·
0개의 댓글
·

웹 서비스의 역사와 발전

위코드 프리코스 수업을 들으며 정리한 내용입니다.인터넷은 전 세계의 컴퓨터가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하나의 거대한 컴퓨터 통신망을 말합니다. 인터넷은 1950년대 광범위하게 설치된 전화선을 통해 시작되었습니다. (모뎀)그 후 1969년대 2차 세계 대전을

2022년 8월 26일
·
0개의 댓글
·

Linux & Terminal

OS 는 사람과 컴퓨터 사이의 중간 관리자로 일종의 번역기 역할을 합니다. 컴퓨터는 0과 1밖에 모르기 때문에 우리가 쓰는 컴퓨터 언어를 대신 해석해서 전달해줍니다. 단순 번역만 하는 것이 아니라 각종 컴퓨터의 자원들(cpu, 메모리)도 쓸 수 있게 해줍니다.OS 는

2022년 8월 24일
·
0개의 댓글
·

Semantic Web, Semantic Tags

Semantic 의 사전적 정의는 '의미의, 의미론적인' 입니다. Semantic Web 은 의미론적 웹을 뜻합니다.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의미가 부여된 웹을 말합니다. 웹에 존재하는 수많은 데이터들에 메타데이터를 부여해 '의미'와 '관련성'을 가지는 거대한

2022년 8월 16일
·
0개의 댓글
·

Home Server _ 생활코딩

생활코딩 WEB2 - Home server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공유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웹서버를 구동하는 방법을 알아보면서, 인터넷을 지배하는 핵심적인 지식과 경험을 알아봅니다. 전화기가 통신하기 위해 전화번호를 사용하듯, 인터넷 위의 컴퓨터들이 서로 통신

2022년 8월 9일
·
0개의 댓글
·

퍼블리_비전공자를 위한 IT 지식

퍼블리 콘텐츠 '개발자랑은 왜 말이 안 통할까?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지식' 의 일부 내용을 발췌 정리한 내용입니다.

2022년 7월 26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