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디너리 데모데이 갔다왔어요

rainlee·2023년 9월 11일
0

외부활동

목록 보기
1/1
post-thumbnail

정문
쿼타랩
평가
테트

지난 9월 8일(금) ~ 10일까지 공덕에서 진행하는 이벤트에 저는 8일 금요일날 다녀왔습니다.
1층에는 기업들의 다양한 이벤트가 하고있었고, 저도 이벤트에 참여하여 즐기고 왔습니다. 쿼타랩에서 컵도 받고, 개발상식 이벤트도 참여했네요.
지하1층에는 IT동아리와 브랜드들이 마련해놓은 아이템들을 보고왔는데 오프라인 세미나를 오랜만에 가서 그런건지, 반차를 쓰고 보러와서 좋은건지 즐겁게 즐기다 왔습니다 ㅎㅎ


세미나

그 중 위 3분의 세미나도 듣고 왔는데, 쿼타랩 프론트엔드 리드 문동욱님의 시장에서 살아남는 개발자 되기가 가장 인상깊었습니다. 냉정하고 현실적인 이야기였으며,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과, 내가 원하는 기업상을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였습니다. 아래는 제가 정리한 내용입니다


시각전환

시장에 대한 시각전환

  • 취업 = 경제적 활동
    • 우리는 스스로의 재능과 역량을 파는 판매자
    • 기업은 주인이 아니라 클라이언트(구매자)
    • 기업과 개인은 자신의 이익을 최대로 만들기 위해서 이기적으로 행동한다
    • 시장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나의 셀링포인트 전략을 수립한다

고객(기업)에 대한 시각전환

  • 고객 = 기업
  • 좋은제품을 만들어도 홍보를 제대로 못하면 아무도 모를 수 있다.
    • 우리도 똑같다. 아무리 역량이 뛰어나더라도 기업에서 나를 좋은사람이라는걸 인지하지 못하면 아무도 모를 수 있다.
  • 지피지기 백전불태 (적을 알고 나를 알면 위태로울 것이 없다)
    • 기업에 대해서 분석을 잘 해야된다.
  • 기업은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한다.
    • ROI(투자수익률)을 보고 판단한다.
    • 기업이 쓰는 돈 대비해서 창출금액이 많은지 계산한다.
    • 실질적은 매출증가, 팀원들의 역량성장, 조직문화빌딩
    • 기업들은 우리들에게 무엇을 원할까? 를 생각해보자 ⇒ 본질은 가치 창출

나에 대한 시각전환

  • 저는 개발만 할 줄 아는 사람이 아니라 개발을 이용해서 비즈니스까지도 할 수 있는 사람이란걸 증명해야한다.
  • 개발자니까 개발은 잘해야한다. TIL을 쓰거나, 알고리즘을 공부해도 이것을 어떻게 비즈니스에 녹여내는지 증명해야한다. ⇒ 말을 잘해야한다.
  • 포장을 잘해야함
  • 내 능력이 비즈니스에 어떻게 연결되는지
  • 개발자는 기술력을 제공하고 그에 따른 연봉을 받는다.
  • 프로는 자신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책임을 져야한다.
  • 내가 맡은 일에 대한 오너십을 가지자
    • 내가 진행할 일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때, 약점이라면 수용하고 보완하자
  • 사람을 개발자가 아니라도 많이만나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