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트 타입에서 제공하는 함수로 그 외의 타입 형식에서 사용하면 에러를 호출한다.
변수에 값을 담지 않기 때문에, 함수 사용으로는 값을 반환하지 않는다.
ex)
a = [1, 2, 3, 4, 5]
b = (1, 2, 3, 4, 5)
c = '12345'
d = {'a':1, 'b':2, 'c':3, 'd':4, 'e':5}
print(a) # [5, 4, 3, 2, 1]
print(a.reverse()) # None. 이미 변환이 되어 있음
print(b.reverse()) # Error
print(c.reverse()) # Error
print(d.reverse()) # Error
파이썬 내장 함수이며, 역 이더레이터를 돌려준다. 리스트와 튜플, 스트링 타입에도 사용 가능하다(딕셔너리는 순서가 있는 타입이 아니므로 지원하지 않음). 객체의 값으로 값을 반환하며 반환된 값은 다른 매서드를 통해 표현할 수도 있다.
알고리즘 풀다가 reverse로 어떻게 해보려고 하다가 reversed로 쉽게 해결하여 기억하려고 남겨놓는다. .. 언제 3월 됐지? 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