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Lv.1] 나누어 떨어지는 숫자 배열

Ho-eng·2023년 4월 28일
0

문제설명.

array의 각 element 중 divisor로 나누어 떨어지는 값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배열을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작성해주세요.
divisor로 나누어 떨어지는 element가 하나도 없다면 배열에 -1을 담아 반환하세요.

제한사항.

arr은 자연수를 담은 배열입니다.
정수 i, j에 대해 i ≠ j 이면 arr[i] ≠ arr[j] 입니다.
divisor는 자연수입니다.
array는 길이 1 이상인 배열입니다.

입출력 예

입출력 예#1

arr의 원소 중 5로 나누어 떨어지는 원소는 5와 10입니다. 따라서 [5, 10]을 리턴합니다.

입출력 예#2

arr의 모든 원소는 1으로 나누어 떨어집니다. 원소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해 [1, 2, 3, 36]을 리턴합니다.

입출력 예#3

3, 2, 6은 10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습니다. 나누어 떨어지는 원소가 없으므로 [-1]을 리턴합니다.

내풀이

function solution(arr, divisor) {
    var answer = [];
    
    
    for(let x of arr){
        if(x % divisor === 0){
            answer.push(x)
        }else if(x % divisor !==0){
            answer.push(-1)
        }
    }
    answer = answer.sort((a,b)=> a-b)

    if (answer.includes(-1) && answer.every((num) => num === -1)) {
    return [-1];
  } else {
    return answer.filter((num) => num !== -1);
  }       
return answer; 
}    
  • 컨셉
    1. 순환을 돌면서 divisor를 나눈 나머지가 0인 것과 아
    닌것들을 answer에 분류한다
    2.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3. -1이 포함되면서 모든 배열의 인덱스가 -1인 배열과, 아닌 배열을 분류하여, 조건별로 answer의 배열을 가공한다.

better

function solution(arr, divisor) {

    var answer = arr.filter(v => v%divisor == 0);
    return answer.length == 0 ? [-1] : answer.sort((a,b) => a-b); 
}
  • 배울 점

조건을 먼저 생각 할 게 아니라, '배열' 이라는 자료형의 조건을 먼저 생각 해야겠다.

배열을 조건별로 요리하는거니까, filter,map,some 등등... 여러 메서드들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고,
이 case인 경우, filter을 사용하여 컨셉1번을 나머지가 0인 것들로 분류를 시키고, 그 뒤에 조건문들을 써주면 좀 더 간결하게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return의 로직경우, 0으로 나눈게 있냐 없냐로 filter로 걸러낸거니까, length > 0 은 나머지가 0인것들로 이루어진 배열일 것이고, length = 0 인 경우는, -1으로만 이루어진 배열일 것이다.

profile
매일 '어제의 나와 오늘의 나는 무엇이 다를까?'를 고민하는 김호엥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