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라면 한 번쯤은 Git과 Github에 대해 들어보셨을 겁니다.
Git은 컴퓨터 파일의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여러 명의 사용자들 간에 해당 파일들의 작업을 조율하기 위해 개발된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 또는 이러한 명령어를 의미합니다. 개발에서는 소스 코드 관리에 주로 이용되지만 어떤 파일 집합의 변경사항을 지속적으로 추적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Git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Git이 컴퓨터에 설치되어야 하며, 온라인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Github의 계정이 필요합니다.
Github의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을 한 뒤에 파일들을 관리하기 위한 새로운 저장소를 만들어줍니다. 좌측 상단의 Recent Repositorues에서 New 버튼을 클릭해서 새로운 저장소를 만들어줍니다.
Repository 생성 화면에서 만들어 줄 Repository의 이름을 적어준 뒤에 중간의 Public / Private를 용도에 맞게 설정한 뒤에 제일 하단의 Create repository 버튼을 클릭합니다. (Private 권장)
만들어진 repository의 url 주소를 기억한 뒤에 다음으로는 만들어진 repository와 컴퓨터 안의 작업공간을 연결시켜 주어야 합니다.
터미널 창에서 Github에 올릴 경로로 이동합니다.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깃에 push 했을 때 올라갈 내 정보를 입력합니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 -> Github에 설정된 이름입니다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메일 주소] -> Github 계정입니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폴더의 깃 저장소를 초기화합니다.
git init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현재 폴더와 Github의 Reposity에 저장하기 위한 길을 뚫어줍니다.
git remote add origin [Github url]
터미널에 git remote -v 를 입력하여 Github와 연결이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다면 fetch와 push에 Github 주소가 들어가 있습니다.
위의 과정을 통해서 Github과 연동했다면 이제 git 명령어를 통해서 파일을 업로드하면 됩니다.
git push 를 맨 처음 실행할 경우에 Github와 컴퓨터의 branch값이 달라서 push가 안되는 경우가 있는데 git push origin master를 통해서 master branch로 push를 진행하여 Github에 push를 진행합니다.
push를 진행할 때 Username for 'https://github.com': 와 같은 내용을 입력하라는 내용이 나올 경우 Github에서 token을 발행하여 입력을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