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자 - JavaScript

백승찬·2023년 5월 21일
0

JavaScript

목록 보기
9/13

연산자는(operator)는 하나 이상의 표현식을 대상으로 산술, 할당, 비교, 논리, 타입, 지수 연산( operation )등을 수행해 하나의 값을 만든다. 이때 연산의 대상을 피연산자( operand )라 한다.

// 산술 연산자
5 * 4 // -> 20

// 문자열 연결 연산자
'My name is' + 'Lee' // 'My name is Lee'

// 할당 연산자
color. = 'red' // red

// 비교 연산자
3 > 5 // false

// 논리 연산자
true && false // false

// 타입 연산자
typeof 'Hi' // string
  • 피연산자 "값"이라는 명사의 역할을 한다면 연산자는 "피연산자를 연산하여 새로운 값을 만든다"라는 동사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 피연산자는 연산의 대상이 되어야 하므로 값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연산자는 값으로 평가된 피연산자를 연산해 새로운 값을 만든다.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arithmetic operator)는 피연산자를 대상으로 수학적 계산을 수행해 새로운 숫자 값을 만든다. 산술 연산이 불가능한 경우, NaN을 반환한다.

이항 (binary) 산술 연산자는 2개의 피연산자를 산술 연산하여 숫자 값을 만든다.

  • 모든 이항 산술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값을 변경하는 부수 효과(side effect)가 없다.
  • 어떤 산술 연산을 해도 피연산자의 값이 바뀌는 경우는 없고 언제나 새로운 값을 만들 뿐이다.
5 + 2 // 7
5 - 2 // 3
5 * 2 // 10
5 / 2 // 2.5
5 % 2 // 1

단한 산술 연산자

  • 단항(unary)산술 연산자는 1개의 피연산자를 산술 연산하여 숫자 값을 만든다.
  • 주의할 점은 이항 산술 연산자와는 달리 증가/감소(++/--)연산자는 피연산의 변경하는 부수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증가/감소 연산을 하면 피연산자의 값을 변경하는 암묵적 할당이 이뤄진다.
var x = 5, result;

// 선할당 후증가(posfix increment operator)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5 6

// 선증가 후할당(prefix increment operator)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7 7

// 선할당 후감소(postfix decrement operator)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7 6

// 선감소 후할당(prefix decrement operator)
result = --x;
console.log(reuslt, x) // 5 5

증가/감소(++/--) 연산자는 위치에 의미가 있다.

  • 피연산자 앞에 위치한 전위 증가/감소 연산자(prefix increment/decrement operator)는 먼저 피연산자의 값을 증가/감소시킨 후, 다른 연산을 수행한다.
  • 피연산자 뒤에 위치한 후위 증가/감소 연산자(postfix increment/decrement operator)는 먼저 다른 연산을 수행한 후, 피연산자의 값을 증가/감소시킨다.

숫자 타입이 아닌 피연산자에 + 단항 연산자를 사용하면 피연사자를 숫자 타입으로 변환하여 반환한다. 이때 피연산자를 것은 아니고 숫자 타입으로 변환한 값을 생성해서 반환한다. 따라서 부수 효과는 없다.

var x = '1';

// 문자열을 숫자로 타입 변환한다.
console.log(+x) // 1
// 부수 효과는 없다.
console.log(x) // "1"

( - ) 단한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부호를 반전한 값을 반환한다. + 단한 연산자와 마찬가지로 숫자 타입이 아닌 피연산자에 사용하면 피연산자를 숫자 타입으로 변환하여 반환한다. 이때 피연산자를 변경하는 것은 아니고 부호를 반전한 값을 생성해 반환한다. 따라서 부수 효과는 없다.

// 부호를 반전한다.
-(-10); // 10

// 문자열을 숫자로 타입 변환한다.
-'10'; // -10

문자열 연결 연산자
( + ) 연산자는 피연산자 중 하나 이상이 문자열인 경우 문자열 연결 연산자로 동작한다.

// 문자열 연결 연산자
' 1 ' + 2; // '12'
1 + '2'; // '12'

// 산술 연산자
1 + 2; // 3

// true는 1로 타입 변환된다.
1 + true; // 2
  • 주목할 것은 개발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타입이 자동 변환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 암묵적 타입 변환 (implicit coercion) 또는 타입 강제 변환 (type coercion)이라고 한다.

할당 연산자

할당 연산자(assignment operator)는 우항에 있는 피연산자의 평가 결과를 좌항에 있는 변수에 할당한다. 할당 연산자는 좌항의 변수에 값을 할당하므로 변수 값이 변하는 부수 효과가 있다. ex) =, +=, -=, *=, /=, %=

var x;

x = 10;
console.log(x); // 10

x += 5; // x = x + 5;
console.log(x); // 15

x -= 5; // x = x - 5;
console.log(x); // 10

x *= 5; // x = x * 5;
console.log(x); // 50

x /= 5; // x = x / 5;
console.log(x); // 10

x %= 5; x = x % 5;
console.log(x); // 0

var str = 'My name is ';

// 문자열 연결 연산자
str += 'Lee' // str = str + 'Lee'
console.log(str); // 'My name is Lee'

할당문은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부수 효과만 있을 뿐 값으로 평가되지 않을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할당문은 값으로 평가되는 표현식인 문으로서 할당된 값으로 평가된다.

비교 연산자

비교 연산자(comparison operator)는 좌항과 우항의 피연산자를 비교한 다음 그 결과를 불리언 값으로 반환한다. 비교 연산자는 if문이나 for문과 같은 제어문의 조건식에서 주로 사용한다.

동등 비교(loose equality) 연산자와 일치 비교 (strict equality) 연산자는 좌항과 우항의 피연산자가 같은 값으로 평가되는지 비교해 불리언 값을 반환한다. 하지만 비교하는 엄격성의 정도가 다르다. 동등 비교 연산자는 느슨한 비교를 하지만 일치 비교 연산자는 엄격한 비교를 한다. ex) == (동등 비교), === (일치 비교), != (부동등 비교), !== (불일치 비교)

  • 동등 비교(==)연산자는 좌항과 우항의 피연산자를 비교할 때 먼저 암묵적 타입 변환을 통해 타입을 일치시킨 후 같은 값인지 비교한다.
// 동등 비교
5 == 5; // true

// 타입은 다르지만 암묵적 타입 변환을 통해 타입을 일치시키면 동등하다.
5 == '5' // true

일치 비교(===)연산자는 좌항과 우항의 피연산자가 타입도 같고 값도 같은 경우에 한하여 true를 반한한다.

// 일치 비교
5 === 5; // true

// 암묵적 타입 변환을 하지 않고 값을 비교한다.
// 즉, 값과 타입이 모두 같은 경우만 true를 반복한다.
5 === '5'; //false

NaN은 자신과 일치하지 않는 유일한 값이다. 따라서 숫자가 NaN인지 조사하려면 빌트인 함수 Number.isNaN을 사용한다.

// Number.isNaN함수는 지정한 값이 NaN인지 확인하고 그 결과를 불리언 값으로 반환한다.
Number.isNaN(NaN); // true
Number.isNaN(10); // false

대소 관계 비교 연산자

  • 대소 관계 비교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크기를 비교하여 불리언 값을 반환한다. ex) >, <, >=, <=
// 대소 관계 비교
5 > 0 // true
5 > 5 // false
5 >= 5 // true

삼항 조건 연산자

삼항 조건 연산자(ternary operator)는 조건식의 평가 결과에 따라 반환할 값을 결정한다. 자바스크립트의 유일한 삼항 연산자이며, 부수 효관느 없다.

조건식 ? 조건식이 true일 때 반환할 값 : 조건식이 false일 때 반환할 값

var x = 2;

var result = x % 2 ? '홀수' : '짝수';

console.log(resutl) // 짝수
  • 즉, 삼항 조건 연산자는 두 번째 피연산자 또는 세 번재 피연산자로 평가되는 표현식이다.
  • 물음표(?) 앞의 첫 번째 피연산자는 조건식, 즉 불리언 타입의 값으로 평가될 표현식이다.
  • 삼항 조건 연산자 표현식은 if ...else 문과 중요한 차이가 있다. 삼항 조건 연산자 표현식은 값처럼 사용할 수 있지만 if ...else 문은 값처럼 사용할 수 없다.
  • 삼항 조건 연산자 표현식은 값으로 평가할 수 있는 표현식인 문이다.
  • 조건에 따라 수행해야 할 문이 하나가 아니라 여러개라면 if ...else 문의 가독성이 더 좋다.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logical operator)는 우항과 좌항의 피연산자(부정 논리 연산자의 경우 우항의 피연산자)를 논리 연산한다. ex) ||(논리곱 OR), &&(논리합 AND), !(부정 NOT)

true || true; // true

true && false; // false

!true; // false

드 모르간의 법칙
논리 연산자로 구성된 복잡한 표혀식은 가독성이 좋지 않아 한눈에 이해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 이러한 경우 드 모르간의 법칙을 활용하면 복잡한 표현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x || y) === (!x && !y) 
!(x && y) === (!x || !y)

쉼표 연산자

쉽표(,) 연산자는 왼쪽 피연산자부터 차례대로 피연산자를 평가하고 마지막 피연산자의 평가가 끝나면 마지막 피연산자의 평가 결과를 반환한다.

var x, y, z;
x = 1, y = 2, z = 3;

그룹 연산자

소괄호('()')로 피연산자를 감싸는 그룹 연산자는 자신의 피연산자인 표현식을 가장 먼저 평가한다. 따라서 그룹 연산자를 사용하면 연산자의 우선순위를 조절할 수 있다.

10 * 2 + 3; // 23

// 그룹 연산자
10 * (2 + 3) // 50

typeof 연산자

typeof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데이터 타입을 문자열을 반환한다.

  • typeof 연산자는 7가지 문자열 "strign", "number", "boolean", "undefined", "symbol", "object", "function"중 하나를 반환한다.
  • null은 반환하는 경우가 없으며, 함수의 경우 "function"을 반환한다.
typeof 1 // "number"
typeof '' // "string"
typeof true // boolean
typeof null // object
...
  • typeof 연산자로 null 값을 연산해 보면 "null"이 아닌 "object"를 반환하는데 주의하자
profile
신은 인간에게 선물을 줄 때 시련이라는 포장지에 싸서 준다. 선물이 클수록 더 큰 포장지에 싸여있다. - 브라이언 트레이시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