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ref; https://www.marca.com/en/technology/2022/03/11/622b4a8546163f72b18b45ed.html
블록체인은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컴퓨터) 간에 공유되는 분산 데이터베이스이다.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예로는 우리가 흔히 아는 P2P 사이트들, 또는 IPFS 등이 있을 수 있는데 같은 원리이다. 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는 누구나 볼 수 있다.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고 누가 누구에게 무엇을 전송했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데이터는 절대 지울 수 없다. (append-only)
분산 데이터베이스는 P2P 네트워크를 참고하자.
블록체인은 말 그대로 블록들이 이어진 체인(chain)이다. 블록은 채굴 등으로 인하여 특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생성이 되며, 안에는 거래(=데이터) 내역들이 담기게 된다. 새로운 거래가 일어나면 블록 안에 거래 내역들이 쌓이고, 블록이 꽉 차게되면 검증 과정을 거치고 해당 체인에 블록이 추가되게 된다.
이 체인을 이루고있는 블록들은 노드(=컴퓨터)들 모두 똑같은 복사본을 가지고 있어서, 어느 노드 하나가 해킹을 당하여 블록 내부의 데이터나 순서 등이 변경 되어도 다른 노드들과 비교를 하여 정보가 맞는지 틀린지를 확인하기 때문에 정보의 위변조(해킹)가 불가능에 가깝다.
조금만 관심을 가졌다면 블록체인, 또는 탈중앙화 금융인 Defi의 해킹으로 인한 피해가 있다는 뉴스 및 이슈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사실 블록체인 자체가 해킹 당한 것이 아니라 블록체인 내에 스마트 컨트랙트라고 하는 코드의 취약점을 이용한 금전 탈취이다.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해서는 이더리움을 포스팅하며 다룰 생각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자체의 해킹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가장 대중적으로 알려져 있는 해킹 방법으로는 51% 공격이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들은 모두 같은 복사본을 가지고 있다고 했다. 이는 위에서 언급 했듯이 해커가 특정 노드를 공격을 하여 데이터를 삭제 및 수정한다고 하여도, 다른 노드들과 비교를 하여 맞는지 틀린지 확인하는 작업을 한다고 하였다. 맞는지 틀린지에 작업은 단순하게도, 절반(50%) 이상의 노드들이 특정 노드의 데이터와 다르다면 그 특정 노드의 의견은 무시된다. 결국, 특정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정보를 변조하려면 해당 네트워크에 50%가 넘는 노드들의 정보를 모두 해킹을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image ref: https://cryptoitunes.com/ko/coinbase-ui-51-gong-gyeog-ilan-mueos-ibnikka-054852
네트워크의 규모가 크지 않다면 50%라고 해도 노드의 수가 적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블록은 주기적으로 새로 생성이 되고, 새롭게 생성되는 블록도 모두 노드들에게 복사본으로 추가가 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해킹이 매우 어렵다.
엄청난 가격 급등락으로 인하여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비트코인은 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온라인 가상자산 또는 암호화폐이다. 비트코인은 2008년 10월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가명을 쓰는 프로그래머가 개발하여, 2009년 1월 프로그램 소스가 배포되었다. 중앙은행 없이 전 세계적 범위에서 P2P 방식으로 개인들 간에 자유롭게 송금 등의 금융 거래를 할 수 있게 하는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비트코인은 비트코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의 기축 통화로서 개인들 간의 거래(송수신)이 가능하다. 비트코인의 거래 내역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전 세계적인 범위에서 여러 사용자들의 서버(노드 or 컴퓨터)에 분산하여 저장된다. 이 말은 즉슨, '누가' '누구'에게 '얼마'만큼의 비트코인을 '언제' 전송했는지 모두 확인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해외로 돈을 송금해야 한다고 가정해보자. 과정이 어떻게 될까? 은행을 거쳐 은행원을 거치고, 원화를 달러로 바꾸고 송금까지의 작업은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다.
비트코인. 가상자산 및 암호화폐는 세계를 이어주는 통화가 될 수 있다. 개인 디지털 지갑의 주소만 알고 있다면 비트코인을 통한 돈의 송금은 5분채 걸리지 않고 전송할 수 있다. 아주 좋은 예로, 22년 초에 발생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에서 우크라이나는 지원금을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으로 모집을 하였고, 이에 따른 금액은 상상을 초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