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중앙화 거래소 (DEX) 에서의 거의 모든 서비스, 기능들은 유동성 풀, 유동성 공급이 있어야만이 동작할 수 있다.
블록체인 업계에는 다양한 분야들이 있다. 그 중 Defi (Decentralized Finance), 탈중앙화 금융에 대해 알아보자.
업비트나 빗썸 등 가상자산 거래소의 상장되어 있는 것들은 우리는 흔히 코인이라 부른다. 비트코인의 영향으로 인해서 일반인들은 코인, 코인 투자란 단어에 익숙해져있다.
블록체인의 블록은 무엇이며, 트랜잭션이란 무엇인가 ? 블록, 트랜잭션과 함께 블록 넘버, 트랜잭션 해시에 대해 알아보자.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고 무한 스크롤 등 특정 viewport에서의 이벤트나 함수 실행에 유용한 Intersection Observer API를 알아보자.
오랜만에 개인 프로젝트를 제작하며 CRA (Create-React-App)을 사용하게 되었다. 하지만 패키지를 확인해보니 예전엔 보였던 것 같은 모듈 번들러가 보이지 않았다.
앞선 글에서 React 렌더링 최적화 방법인 Windowing, shouldComponentUpdate(), React.PureComponent, Lazy Loading에 대해 정리했다. 이어서 React 렌더링 최적화에 대해 정리한다.
그 어떤 개발을 할 때에 최적화는 중요하다. React에서는 렌더링 최적화를 위한 설정과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1)
비슷하면서 다른 WebSocket과 Socket.io이다. 꾸준히 수요가 있는 채팅쪽과 최근 핫한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주로 필요로 하는, 실시간 통신에 사용하는 두 기술의 차이를 확실히 정리가 필요할 것 같다.
최근 서버 사이드 렌더링이 다시 주목을 받으며 떠오르는 Next.js는 많은 기업에서 원하고 있는 기술이다. Next.js에 대해 정리한다.
서버 사이드 렌더링(Server Side Rendering, SSR) 은 최근 개발자들이 집중하고, 강조하는 기술이다. 도대체 어떤 기술이며 왜 서버 사이드 렌더링인지, 서버 사이드 렌더링에 대한 이론을 공부하며 정리한다.
Frontend 개발 시, API를 다루게 되면 CORS 문제를 쉽게 접할 수 있다. 외부 API에 접근을 하거나, 가장 쉽게 확인이 가능할 때에는 도메인에 올리기 전에 로컬 환경에서 개발을 할 때다.
웹 스크래핑(Web Scrapping)은 위키백과를 따르면, 웹사이트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스크래핑이다. 웹 스크래핑은 HTTP 또는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World Wide Web에 직접 액세스할 수 있다.
요즘 웹의 필수 요구사항이라 언급되는 PWA(Progressive Web Apps)이다. 최근 웹 만큼이나 앱(모바일)의 사용이 크게 증가함으로써 이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기술인 만큼 웹 개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