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 >컴파일러(Compiler)와 인터프리터(Interpreter)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두 가지 주요 접근 방식입니다. 각각의 방식은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컴파일러(Compiler) >1.변환 과정: 컴파일러는 소스 코드 전체를 읽고, 이를 기계어 또는 중간 코드로...
고차 함수(Higher-Order Function) >고차 함수는 다른 함수를 인자로 받거나 함수를 결과로 반환하는 함수를 말합니다. 이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고차 함수를 사용하면 코드를 간결하게 만들고 추상화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고차 함수로는 맵(Map), 필터(Filter), 리듀스(Reduce) 등이 있습...
파이프라인? >IT에서 "파이프라인"이라는 용어는 주로 소프트웨어 개발, 데이터 처리, 자동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이 용어는 작업이 여러 단계로 나누어지고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구조를 나타냅니다. 파이프라인은 효율성을 높이고 자동화를 통해 일련의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파이프라인 예시 >1.데이터 처리 파이...
웹소켓의 작동 방식과 특징 >핸드셰이크(Handshake)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웹소켓 연결을 요청할 때, 먼저 핸드셰이크 과정이 이루어집니다. 이 과정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Upgrade 헤더를 사용하여 HTTP에서 웹소켓으로 프로토콜을 변경합니다. > 양방향 통신 핸드셰이크 이후에는 TCP 소켓 연결이 성립되고, 이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해집니다. ...
핸드셰이크(Handshake) >핸드셰이크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통신이 이루어질 때, 양쪽이 서로를 식별하고 서로에게 안전한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주로 웹 개발에서 사용되는데,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이 요청을 받아들이고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보냅니다. 이때 핸드셰이크가 이루어지면서 양쪽이 안전한 통신을 시작합니다...
양방향 데이터 전송 >양방향 데이터 전송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상호적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프로세스를 의미합니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의 데이터 전송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나 요청을 가지고 서버에게 소켓을 통해 메시지를 전송합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채팅 애플리케이션에서 메시지를 입력...
프레임 >웹소켓은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프로토콜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이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프레임"이라 불리는 작은 조각들로 나누어져 전송됩니다. 각 프레임은 메시지의 일부를 나타내며, 텍스트, 바이너리, 또는 특정한 제어 명령 형식 중 하나일 수 있습니다. 프레임의 세 가지 유형 >데이터 프레임(Data ...
서브프로토콜 >서브프로토콜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위한 규약을 정의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글에서는 서브프로토콜이 무엇이며,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어떻게 서브프로토콜을 협상하고 사용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예시로 들어 JSON 기반의 서브프로토콜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