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해도 접근이 안되어 순서대로 정리하려고 합니다.보안정책에 인바운드 3306을 추가한다.mysql/etc/mysql/mysql.conf.dbind-address 127.0.0.1 을 주석처리 하던가, 0.0.0.0으로 수정한다.mariadb/etc/mysql/ma
alter database DB_NAME default character set utf8 collate utf8_general_ci;alter table TABLE_NAME default character set utf8 collate utf8_general_ci;sh
github 경로 : https://github.com/qmdch1/JS_nestjs_auth_passport_typeorm_bcrypt_session/tree/master사전 정보를 설명 해드리겠습니다.1\. @nestjs/cli 명령어로 프로젝트를 생성2\
요즘에는 ORM을 많이 사용하는곳이 많겠지만, 쿼리문을 직접 사용 하는곳도 있을겁니다.보통 쿼리문을 아래와 같이 파라미터 바인딩을 사용하여, 값을 넣게 되는데,이는 rdbms에서 숫자형이면 숫자로, 문자형이면 문자형으로 변환을 해주는데, 위 쿼리문은 아래와 같이 변환
Key 관련 명령어:SET key value: 주어진 키에 값을 설정합니다.GET key: 주어진 키의 값을 가져옵니다.DEL key: 주어진 키와 관련된 값을 삭제합니다.EXISTS key: 주어진 키가 존재하는지 확인합니다.String 관련 명령어:APPEND ke
디비를 사용하다보면 중복제거, 통계, 인덱싱 등의 작업을 자주 하게 됩니다.방식이 여러가지니 제대로 이해 하지 못하고 사용하시는 분들도 많죠이 글에선 세가지(DISTINCT, GROUP BY, WITH)의 방식을 소개 합니다.중복된 행을 제거하고 "고유한 값"만 필요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