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olver의 모습 특별한 점은 없다.
단지, 이번에는 argument인 productId를 중괄호안에 담아서 보내주었는데, 좀 더 확실하게 데이터를 정의해서 보내기 위해 해준것이다.
service에서의 모습
보시다시피, 여러가지 삭제 방법들이 있는데 이번에는 실제로 데이터를 삭제하지 않고 소프트 적으로 삭제되었다는 각인만 새긴후 (softDelete) 반환해주는 방법을 선택했다.
softDelete함수를 사용한후 affected를 사용하여 result에 변화가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한 후 있으면 true를 반환해 준다.
다른 특이사항으로 argument를 받아줄때 타입을 interface를 사용하여 새로 만들어준 타입 (IProductsServiceDelete)을 사용해 주었다.
중괄호로 받아주었을때는 객체타입으로 타입을 지정해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만들어준 interface의 모습
너무 좋은 글이네요.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