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 관리? 다들 생각하는 것처럼 변수의 상태 관리를 생각할 것이다. 최근에 개발 도중에 상태 관리 관해서 고민을 했었다. 고민 : 상태 관리를 Hook에서 상태 관리를 하는지 컴포넌트 안에서 상태 관리를 하는지 고민이 생겼다. 일단 필자는 컴포넌트, Hook 따로 관리를 한다. 이런 식이다. 그러면 Hook은 어떻게 불러오는가? 이런 식으로 hooks에 API들을 정리하여 관리하고 있다. 중요한 건 이게 아니라, 이렇게 따로 분류하고 있다 보니 변수들도 넘겨서 상태 관리를 하고 있다. 이렇게 넘겨서 hook에서 state를 처리를 하기도 한다. 이 상태 관리를 하나로 통일을 하고 싶고 정리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까 고민 중에 있고 지금도 잘 모르고 있긴 하다. 하지만 개발하면서 확실하게 느낀 건 공통으로 사용되는 API가 있으면 상태 관리를 Hook에서 하는 게 맞는 것 같다. 근데 그게 아니라면 상태 관리를 컴포넌트에서 하는 게 맞는 걸까? 그래서 일단 내가 내
GraphQL? 이게 무엇일까? 지금 작성하고 있는 나도 아무것도 모른채 작성중에 있다. 갑자기 왜 작성을 했을까? 상황은 이랬다. 연휴이기도 하고 쉴만큼 쉬었으니 일요일은 컴퓨터에 앉아보려고 했다. 전에 했던 프로젝트를 API모듈화 리팩토링을 하기로 마음을 먹고 리팩토링을 하고 있는 와중에 모르는 부분이 있어서 블로그를 둘러보고 있었는데 목록에 "GraphQL"이라는 녀석이 내 눈을 거슬리게 했다. 그래프큐엘이라 읽는거죠? ㅎㅎ... 어디선가 많이 들어봤던 것 같고 아는 것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한 애매했다. 자, 이제 그러면 알아보기로 시작하자. facebook에서 만든 쿼리 언어이다. 이건 찾아보지도 않고 바로 알았다. 최근 facebook 소셜로그인을 만들었는데, facebook API에는 앞에 Graph가 붙는... 기존 REST API통신에서는 백엔드 개발자가 만든 API에서 데이터를 불러올 수 밖에 없었다. 자유롭게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를 가져오기에는
나는 프론트개발자 이다. 몇 달 전까지만 해도 떳떳하게 프론트개발자라고 말을 하기 어려웠는데 이제서야 당당하게 프론트개발자라고 말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전에는 인턴이었기 때문.. ㅎㅎ 그런데 왜!! 지금 나는 왜 서버 배포 담당까지 해야 하는 거지..? 무려 어제오늘 있었던 일이다. 개고생을 하다가 서버 배포의 궁금증이 생겼다. AWS EC2 가상환경 서버는 랜덤의 IP주소를 만들어낸다. 예를 들면, 75.43.88.xx 식으로? 가상환경 서버에 이러한 ip주소를 할당받으면 우리가 생각하는 외부 접속을 할 수 있다는 소리이다. 그럼 이제 www.xxx.com 처럼 숫자의 ip가 아닌 도메인을 만들게 어떻게 만드는가? DNS이다! 여기서 궁금증이 생겼다. EC2 고유의 IP주소로 2개 이상의 도메인을 만들 수 있을까? 이 궁금증이 생긴 이유는 지금 맡고 있는 프로젝트가 있는데 실제 운영된 서버를 찾고 있다. (근데 진짜 찾을 수가 없음.. 안보임.. 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