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 (좋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홍범선·2023년 5월 4일
0

스프링

목록 보기
26/35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 (좋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1.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객체"들의 모임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 각각의 객체는 메시지를 주고받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그램을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하게 만들기 때문에 대규모 소프트웨어 개발에 사용

  2.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
    컴퓨터 부품을 갈아 끼우듯이, 컴포넌트를 쉽고 유연하게 변경하면서 개발할 수 있는 방법

  3. 객체지향 특징 - 다향성
    역할과 구현으로 세상을 구분, 역할은 인터페이스, 구현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

    자동차 역할을 3개의 자동차가 구현함, 자동차가 바껴도 운전자한테 영향을 끼치지 않음
    K3에서 테슬라 모델3로 바꾼다고 해서 면허증을 새로 딸 필요가 없듯이 운전자는 자동차 역할에 대해서만 의존하고 있다. 자동차 세상을 무한히 확장 가능함, 새로운 자동차만 구현하면 됨, 클라이언트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새로운 기능 제공


로미오, 줄리엣 역할이 있고, 다양한 사람이 할 수 있다. 배우는 대체가 가능해야 한다.
이렇게 역할과 구현으로 나누어야 한다.

키보드, 마우스 세상의 표준 인터페이스들, 기계식 키보드 쓰다가 다른 키보드 바꿀 때 그냥 끼우면 됨, 컴퓨터 조작 x

자바 언어의 다형성 활용
역할 인터페이스, 구현 =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 구현 객체
객체를 설계할 때 역할과 구현을 명확히 분리,
객체 설계시 역할을 먼저 부여하고, 그 역할을 수행하는 구현 객체 만들기
=> 오버라이딩 => 재정의
오버라이딩 된 메소드 실행

만약 인터페이스의 MemberRepository의 save함수를 실행시키면 해당 객체가 Memory면 Memory쪽 save를 Jdbc면 Jdbc를 실행시킨다.

즉 인터페이스를 안정적으로 잘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형성이 가장 중요하다.
스프링은 다형성을 극대화해서 이용할 수 있게 도와준다.
스프링에서 이야기하는 제어의 역전(IOC), 의존관계 주입(DI)은 다형성을 활용해서 역할과 구현을 편리하게 다룰 수 있도록 지원한다.

profile
알고리즘 정리 블로그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