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준비: 검색 기본기 다지기
1) 되도록 구글에서 검색하기
2) 영문으로 검색하기
3) 검색엔진 기능 충분히 숙지학
4) 구글 이외의 사이트 활용하기
Step1. 검색어 제대로 입력하기
1) 상황에 따라 검색 결과를 제한한다. 단 해결하려는 문제가 범용적일수록 검색 결과를 제헌하지 않는 게 좋다.
2) 공식 문서나 교과서에 기재된 정확한 용어로 검색한다
Step2. 검색 결과에서 원하는 문서 찾기
1) 분야별로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를 미리 파악해둔다. 반면에 정보 가치가 낮은 사이트는 피한다.
2) 정보에 따라 변화 주기가 다르므로 이를 반영해 검색 결과의 시의성을 판단한다.
3)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는다면 관련 검색어를 참고해 검색 키워드를 바꿔본다
Step3 찾은 문서 제대로 읽기
1) 유용한 문서나 사이트를 발견하면 틈틈이 수집한다.
2) 코멘트를 꼼꼼히 살펴보며 본문에 오류가 없는지, 본문에 없는 중요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한다.
3) 문서에 다루는 버전이 내가 사용하는 버전과 호환되는지 확인한다.
4) stackoverflow의 답변 투표수, 작성자의 평판 점수 등을 활용해 유용한 정보 위주로 읽는다.
5) 검색하기 전 공식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기본 문서를 꼼꼼히 읽는다.
우리는 평소에 검색을 잘하고 있을까?
1) 되도록 구글에서 검색하기!
2) 되도록 영문으로 검색하기
3) 검색엔진 기능 충분히 숙지하기
4) 구글 이외의 사이트 활용하기
1) 적절한 범위의 검색 결과 얻어내는 방법
해결하려는 문제가 범용적일수록 검색 결과를 제한하지 않는게 좋다. 검색어에 해당 문제를 정확히 기술하는 키워드를 포함하면 좋다.
2) 정확한 키워드 찾는 방법
어떤 분야를 공부하더라도 되도록이면 권위 있는 교과서나 공식 문서를 읽으면서 정확한 용어를 눈여겨보려고 노력해야 한다. 동식문서가 어려워도 제대로 정확하게 읽으면 필요한 것들이 있다.
정확한 용어를 알지 못해서 원하는 검색 결과가 잘 안나온다면 해당 용어를 알아내기 위해 검색해 보자.
⭐️⭐️⭐️⭐️⭐️문제를 다 풀었다고 그냥 넘어가지 말고 해당 문제를 스스로 잘 이해하고 있는지 꼭 X 99999999 확인해 보자!
1) 분야별로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 파악하기.
공식 문서를 일단 읽어라. 공식문서는 무조건 0순위에 두워야 한다. 특히 프레임워크같은 경우에서는
웹 관련 기술은 w3.org가 좋지만 가독성에서는 별로다.
2) 정보 가치가 낮은 사이트 파악하기
잘 읽어보고 정보가치가 없는 사이트는 걸르는게 좋다. 개인 블로그라든지 뭐 등등
3) 정보의 시의성 따져보기
정렬 알고리즘을 찾는 맥락이었다면 꼭 최신 문서를 찾을 필요는 없다. 물론 특정 정렬 알고리즘의 변형과 관련된 최근 자료를 찾는 경우라면 얘기가 다르다.
상황에 따라 적절한 판단을 하려면 내가 검색하려는 정보가 대략 어느 시기에 얼마나 변했는지 등을 알아야 한다.
4) 검색 키워드 바꿔보기
검색을 했는데 자료가 안나오거나 마음에 안드는 자료들이 나오면 Realted searches를 참고하자.
5) 단 하나의 가장 좋은 문서만 찾으려고 하지 말기
제일 좋은 문서 딱! 한개만 찾지 말고 2~4개 정도의 문서를 새탭으로 열어두고 살펴보는게 좋다.
예를 들어 공식문서를 읽는데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은 얼른 새로운 탭을 열고 찾아본다. 분명히 나혼자만 이해하가 안되는 것은 아니다. 상위 사이트에서 특히 stackoverflow에서 찾아보자 opensource github면 issues부분도 찾아보자.
잘 읽는 것이다. 시간 없다고 대충 훅~ 보지말고 (그래서 제대로 읽으면 5분 걸리는걸 대충 읽어서 다시 제대로 읽어서 시간 더 먹는다.) 제대로 읽기
1) 유용한 문서 및 사이트 수집하기!
2) 코멘트까지 꼼꼼히 읽기
본문만 읽었다면 놓쳤을 법한 중요한 포인트들이 코멘트에 있을 때가 상당히 있다.
예를 들면 Stackoverflow 같은경우는 투표수가 많은 글에도 코멘트에서 지적 한 경우도 많다.
3) 버전과 호환되는지 확인하기
라이브러리나 운영체제 등은 버전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어서 사용하는 버전을 확인 해야 한다.
4) Stackoverflow 제대로 활용하기
2번 이랑 같다 답변을 읽을 때는 반드시 코멘트를 함께 읽는다.
5) 여전히 원하는 정보를 못 찾았으면?
공식 가이드라인이나 공식 레퍼렌스, 좋은 교과서, 논문, 위키백과 등을 찾아보면서 일단 맥락부터 파악하는게 좋다. 어떤 라이 브러리나 프레임워크를 이용하기 전에 반드시 공식 사이트에서 제동하는 기본적인 문서를 꼼꼼하게 읽어야 한다.
1) 더나은 답을 찾기 위해 아는 것도 한 번 더 검색하기.
가장 좋은 방법은 익숙한 문제를 풀 때도 혹시나 더 좋은 방법이 있는지 검색한다.
이미 방법을 알고 있더라도 지식을 '새로고침'하는 느낌으로 한 번 씩 검색해 보길 추천 한다.
2)변화 주기가 짧은 지식은 더 자주 검색하기
오래가는 지식을 축적하는 동시에 빠르게 변하는 지식을 갱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3) 풀여야 될 문제가 없어도 검색하는 습관 들이가.
프로그래머에게 유익한 습관중 하나가 '호기심'이라고 생각한다.
4) 나에게 필요한 정보를 자동 수집해 주는 시스템 구축하기
업무 외적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싶다면 좀 더 체계적인 검색 습관이 필요하다.
내가 능동적으로 찾지 않아도 나에게 필요한 정보가 알아서 찾아오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출처: 퍼블리: 주니어 개발자를 위한 정보 검색 노하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