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 소수만들기 (with Kotlin)

Purang·2023년 2월 9일
0

Programmers

목록 보기
3/5

문제 설명
주어진 숫자 중 3개의 수를 더했을 때 소수가 되는 경우의 개수를 구하려고 합니다. 숫자들이 들어있는 배열 num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ums에 있는 숫자들 중 서로 다른 3개를 골라 더했을 때 소수가 되는 경우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nums에 들어있는 숫자의 개수는 3개 이상 50개 이하입니다.
nums의 각 원소는 1 이상 1,000 이하의 자연수이며, 중복된 숫자가 들어있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nums result
[1,2,3,4] 1
[1,2,7,6,4] 4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1,2,4]를 이용해서 7을 만들 수 있습니다.

입출력 예 #2
[1,2,4]를 이용해서 7을 만들 수 있습니다.
[1,4,6]을 이용해서 11을 만들 수 있습니다.
[2,4,7]을 이용해서 13을 만들 수 있습니다.
[4,6,7]을 이용해서 17을 만들 수 있습니다.

문제 생각
서로 다른 3개를 골라 더했을 경우이므로 조합을 통해 서로 다른 3개를 골라 더한 후 그 중 소수를 판별하여 개수를 세는 방식을 생각하였습니다.

답변 코드

class Solution {
    val answerArr = arrayListOf<Int>()
    val answer = arrayListOf<Int>()
    
    fun isPrime(n : Int) : Boolean {
        var i = 2
        while ( i * i <= n) {
            if (n % i++ == 0) {
                return false
            }
        }
        return true
    }
    
    fun combination(arr : IntArray, cnt : Int, depth : Int, start : Int) {
        if (cnt == depth) {
            val ip = isPrime(answerArr.sum())
            if (ip) {
                answer.add(answerArr.sum())
            }
            return
        }

        for (i in start until arr.size) {
            answerArr.add(arr[i])
            combination(arr, cnt + 1, depth, i + 1)
            answerArr.removeAt(answerArr.lastIndex)
        }
    }
    
    fun solution(nums: IntArray): Int {
    
        combination(nums, 0, 3, 0)
        // [실행] 버튼을 누르면 출력 값을 볼 수 있습니다.
        //println("Hello Kotlin")

        return answer.size
    }
}

isPrime을 통해 소수를 판별하였습니다. 소수를 판별할 숫자 n의 중간 값인 루트n을 통해 1부터 루트n 까지만 n과의 나머지를 계산하여 나머지가 0이 나올 경우 그 i으로 나누어 떨어지기에 소수가 아니게 되고 while문을 통과하면 나누어 지는 수가 없으므로 소수인 것을 확인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습니다.
그 후 answer에 들어온 수는 제한사항을 모두 통과하고 나온 수 이므로 answer의 사이즈값이 총 개수가 됩니다.

profile
몰입의 즐거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