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분면은 한 평면을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나눈 네 부분입니다. 사분면은 아래와 같이 1부터 4까지 번호를매깁니다.x 좌표와 y 좌표가 모두 양수이면 제1사분면에 속합니다.x 좌표가 음수, y 좌표가 양수이면 제2사분면에 속합니다.x 좌표와 y 좌표가 모두 음수이면 제
정수 배열 numb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numbers의 원소 중 두 개를 곱해 만들 수 있는 최댓값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0 ≤ numbers의 원소 ≤ 10,0002 ≤ numbers의 길이 ≤ 100두 수의 곱중 최댓값은
정수 배열 numbers와 정수 num1, num2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umbers의 num1번 째 인덱스부터 num2번째 인덱스까지 자른 정수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2 ≤ numbers의 길이 ≤ 300 ≤ number
문자열 배열 strlist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strlist 각 원소의 길이를 담은 배열을 retru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1 ≤ strlist 원소의 길이 ≤ 100strlist는 알파벳 소문자, 대문자, 특수문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We
순서쌍이란 두 개의 숫자를 순서를 정하여 짝지어 나타낸 쌍으로 (a, b)로 표기합니다. 자연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두 숫자의 곱이 n인 자연수 순서쌍의 개수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1 ≤ n ≤ 1,000,000n이 20 이므로
문자열 my_string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my_string을 거꾸로 뒤집은 문자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1 ≤ my_string의 길이 ≤ 1,00my_string이 "jaron"이므로 거꾸로 뒤집은 "noraj"를 retur
문자열 my_string과 정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my_string에 들어있는 각 문자를 n만큼 반복한 문자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2 ≤ my_string 길이 ≤ 52 ≤ n ≤ 10"my_string"은 영어 대소문자
영어 알파벳으로 이루어진 문자열 str이 주어집니다. 각 알파벳을 대문자는 소문자로 소문자는 대문자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해 보세요.1 ≤ str의 길이 ≤ 20str은 알파벳으로 이루어진 문자열입니다.입력 aBcDeFg출력AbCdEfGString 형 변수에
어떤 자연수를 제곱했을 때 나오는 정수를 제곱수라고 합니다. 정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이 제곱수라면 1을 아니라면 2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1 ≤ n ≤ 1,000,000144는 12의 제곱이므로 제곱수입니다. 따라서 1을
정수 num과 k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um을 이루는 숫자 중에 k가 있으면 num의 그 숫자가 있는 자리 수를 return하고 없으면 -1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0 < num < 1,000,0000 ≤ k <
머쓱이는 친구들과 369게임을 하고 있습니다. 369게임은 1부터 숫자를 하나씩 대며 3, 6, 9가 들어가는 숫자는 숫자 대신 3, 6, 9의 개수만큼 박수를 치는 게임입니다. 머쓱이가 말해야하는 숫자 order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머쓱이가 쳐야할 박수 횟수를
다음과 같이 출력하도록 코드를 작성해 주세요.\`!@public class Solu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 }}
정수 배열 array와 정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array에 들어있는 정수 중 n과 가장 가까운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1 ≤ array의 길이 ≤ 1001 ≤ array의 원소 ≤ 1001 ≤ n ≤ 100가장 가까운 수
머쓱이는 행운의 숫자 7을 가장 좋아합니다. 정수 배열 array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7이 총 몇 개 있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1 ≤ array의 길이 ≤ 1000 ≤ array의 원소 ≤ 100,0007, 77, 17에는 7
숫자와 "Z"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담긴 문자열이 주어집니다. 문자열에 있는 숫자를 차례대로 더하려고 합니다. 이 때 "Z"가 나오면 바로 전에 더했던 숫자를 뺀다는 뜻입니다. 숫자와 "Z"로 이루어진 문자열 s가 주어질 때, 머쓱이가 구한 값을 return 하도록 so
영어가 싫은 머쓱이는 영어로 표기되어있는 숫자를 수로 바꾸려고 합니다. 문자열 numb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umbers를 정수로 바꿔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numbers는 소문자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numbers는 "z
정수 n과 문자열 control이 주어집니다. control은 "w", "a", "s", "d"의 4개의 문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control의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문자에 따라 n의 값을 바꿉니다."w" : n이 1 커집니다."s" : n이 1 작아집니다."d" :
정수 배열 numLog가 주어집니다. 처음에 numLog\[0]에서 부터 시작해 "w", "a", "s", "d"로 이루어진 문자열을 입력으로 받아 순서대로 다음과 같은 조작을 했다고 합시다."w" : 수에 1을 더한다."s" : 수에 1을 뺀다."d" : 수에 10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