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reka서버

Jinjin·2023년 11월 9일
0
post-thumbnail

📌Eureka란?

: Eureka는 Neflix에서 제공한 MSA를 위한 클라우드 오픈 소스이다.

LoadBalancer를 사용하면 각 모듈은 CI/CD를 수행하면서 계속해서 업그레이드 된다. 그 과정을 통해 연결 정보(ip, port, hostname)가 계속 바뀌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다. 따라서, Eureka를 사용해서 LB에 연결 정보 등록에 대한 문제점과 에러 처리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Discovery

다른 서비스의 연결 정보를 찾는 것이다.

🔎Registry

서비스의 연결 정보를 등록하는 것이다.

🔎Eureka 구성

  • Eureka Server
  • Eureka Client
    : 각각의 서비스에 해당하는 모듈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실제 흐름

  1. Eureka Client 서비스가 시작 될 때 Eureka Server에 자신의 정보를 등록한다.
  2. Eureka Client는 Eureka Server로 부터 다른 Client의 연결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Registry를 받고 자신의 Local에 저장한다.
  3. 30초 마다 Eureka Server로 부터 변경 사항을 갱신받는다.
  4. 30초 마다 ping을 통하여 자신이 동작하고 있다는 신호를 보낸다. 신호를 보내지 못하면 Eureka Server가 보내지 못한 client를 Registry에서 제외시킨다.

즉, 모든 서비스 모듈이 스스로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기술이 Eureka인 것을 알 수 있다.


참고 : https://velog.io/@jkijki12/Eureka%EB%9E%80

profile
BE Develop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