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DEMY- 태블로 Tableau 시각화 입문 클래스- 섹션 2: 시작하기

르네·2023년 9월 13일
0

Tableau

목록 보기
1/37

'태블로 Tableau 시각화 입문 클래스' 강의를 듣고 중요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개인공부 후 자료를 남기기 위한 목적임으로 내용상에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2.4 데이터 연결하기

2.5 데이터 원본 페이지

데이터를 연결한 다음에 데이터 원본 내 시트가 여러 개 있는 경우에는 활용하고자 하는 시트를 드래그해서 캔버스에 올려두면 해당 시트 내 필드들을 활용해 시각화할 준비가 됩니다.

반면에 데이터 원본 내 시트가 지금처럼 하나만 있는 경우 자동으로 데이터 연결되어 바로 캔버스에 해당 시트가 연결되고 데이터 그리드에 어떤 필드가 있는지 미리보기할 수 있습니다.

연결은 태블로 데스크탑에서는 라이브와 추출 연결이 있는 반면 태블로 퍼블릭에서는 연결 옵션이 보이지 않습니다.

반면에 태블로 퍼블릭은 왜 연결이 없는 이유가 저장할 때 본인 PC에 있는 로컬에 저장하는 개념이 아니라 웹에 있는 태블로 퍼블릭에 저장하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따라서 워크 시트로 넘어가면 좌측 상단에 데이터 원본에 이름이 있는데
데이터 원본 앞에 원통이 2개가 있다는 것은 추출되었다는 뜻입니다.

2.6 데이터 분할

데이터 원본에 있는 필드 중에서 구분 기호를 사용해서 분할 범위를 지정해서 여러 개 값으로 분할하는 사용자 지정 분할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때 분할 범위에 따라 First, Last, All을 지정하고 몇 개의 열로 나눌 것인지 결정하면 됩니다. 또한 필드에서 여러 개 필드를 계산식으로 합칠 수도 있습니다.

이 영상에서는 주로 데이터 원본 페이지에서 처리했지만 워크시트 내 좌측 사이드 바에서 데이터 분할 및 필드를 결합할 수 있습니다.

2.7 작업 영역

화면 상단에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 도구 모음들인 메뉴와 툴바가 있고 왼쪽에는 사이드 바에는 데이터 패널과 분석 패널이 있는데 데이터 패널에는 데이터 원본 내 칼럼으로 이뤄진 필드들을 활용해서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가운데 하얀색 영역을 뷰(View)라고 하는데 데이터 시각화 결과물이 표시되는 곳으로 데이터 시각화를 위해 좌측 사이드 바에 있는 변수들을 끌어다 선반이나 마크에 올리면 해당 필드의 유형 및 역할에 따라 뷰에 표현되는 방식은 다양합니다.

그리고 뷰에 표현되는 차트는 태블로의 내장된 규칙에 따라 우측 상단에 있는 표현 방식을 기준으로 먼저 추천해 주게 되며 워크 시트 하나씩 마다 만든 결과물들 여러 개를 한 곳에 모아놓고 인터랙티브 요소를 추가해서 보는 곳대시보드이며 여기에 스토리텔링을 추가하면 스토리가 됩니다.

2.8 데이터 패널

데이터 패널에는 연결한 데이터 원본과 그 데이터 내 있는 변수들이 함께 모여있습니다.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필드들의 유형과 역할이 중요합니다. 유형은 숫자, 문자열, 날짜, 지리적 역할, 그룹, 집합, 부울과 같은 형태가 있고 역할은 차원과 측정값으로 구분이 됩니다. 기본적으로는 숫자는 측정값 그 외에는 차원으로 배치됩니다. 측정값은 숫자 형식으로 매출, 수량, 수익처럼 정량적인 필드로 더블 클릭 또는 드래그 앤 드롭으로 한 덩어리로 만듭니다.

그 외 나머지 유형인 차원은 고객 이름, 시도, 세그먼트처럼 정성적인 필드로 앞에서 측정값으로 만든 한 덩어리를 여러 개 덩어리로 나누는 역할을 합니다. 이 외에 매개 변수는 상수 값을 계산식, 필터, 참조선과 연동해서 다양한 값으로 변경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
데이터분석 공부로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