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ho "# First Commit" >> README.md -> 첫번째 라인, 파일 만든다. git status에서 확인
git init -> 한번도 git 사용하지 않았다면, 글로벌 유저 이름, 패스워드 설정해야한다.
git add README.md -> add, git status로 확인
git commit -m "first commit" -> commit
git branch -M main -> 메인이라는 브랜치를 만든다. git branch -a 으로 확인, -r 리모트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Thomas-Anderson1999/GitTest.git
git push -u origin main
git log --oneline //로그를 한 줄로 커밋메세지와 함께 간단하게 볼 수 있는 명령어
git reset --hard <커밋번호> // 기록이 남지 않게 해당 커밋으로 돌아가고 그 이후 기록은 모두 사라집니다. *신중히 사용
git revert <커밋번호> //돌아가고 싶은 커밋도 하나의 추가적인 커밋으로 생성하는 명령어 입니다.
git reflog // 지워진 커밋들의 정보도 볼 수 있습니다.
git reset --hard HEAD@{0} // git reset --hard 로 날려버렸을 경우 이전 커밋으로 돌립니다. 안되는 경우도 있으니 reset --hard는 조심히 사용하시길 바래요!
git branch -m "이름" // 나뭇가지처럼 다른 방만드는거? -> add -> commit -> push
git checkout main
cmd 창에선 RD /S /Q .git git bash에선 rm -rf .git 사용 시 다른주소 클론코딩해온 깃의 주소를 없애고 다시 시작할 때 사용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