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열(Arrays)많은 수의 데이터를 다룰 때 사용각 데이터를 인덱스와 1:1 대응데이터가 메모리 상에 연속적으로 저장장점인덱스를 통해 데이터에 빠르게 접근 가능 (1번인덱스나 13번 인덱스나 접근시간이 비슷)단점미리 최대 길이를 정해서 생성하기 때문에 추가,삭제가 번
개발자가 컬렉션에 저장된 요소들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여기서 컬렉션이란 자바에서 제공되는 자료구조들의 인터페이스로 ArrayList,set,Queue 등등이 이를 상속받고 있습니다.즉, 각 자료구조마다 자료를 저장된 방식이 다른데 이를 표준화해서 한
코딩 테스트를 풀 땐 Scanner 보다 BufferedReader 더 효율적이라는데 이를 자세하게 알아봅시다. BufferedReader의 속도가 더 빠른 이유는 Buffer의 차이입니다. Scanner는 1kb의 buffer를 가진 반면, BufferedReader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와는 다르게 수시로 수정되며 그 길이가 길어질수록 유지 보수는 더욱 힘들어집니다.그렇기 때문에 코드를 관리함에 있어서 코드를 잘 분류하고 때에 따라서는 특정 모듈을 완전히 교체하더라도 불편함이 없어야 합니다.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최적의 방
개발자가 컬렉션에 저장되어 있는 요소들, 특히 리스트에 접근하는데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입니다.Collection이란 자바에서 제공하는 자료구조들의 인터페이스로 List, ArrayList, set,Queue, LinkedList가 이를 상속받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컬렉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해주는 객체로 데이터 크기를 가변적으로 변경해줍니다.배열을 직접 다룰 필요없이 값을 add(), remove(), clear(), size()해주게 됩니다. 데이터 관리를 직접 할 필요가 없다.배열은 값을 추가할 때 배열을 늘리고 값을 복사하고 새
static은 잘 이해한다면 코드의 유연성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static변수와 메서드 등 개념을 살펴보고 그 사용법, 단점까지 알아보겠습니다.static이란 '정적인'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static이 붙은 변수와 메서드는
다음 내용은 남궁성의 정석코딩 스트림편 을 보며 참고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표준화된 방법으로 다루기 위한 것입니다.배열이나 컬렉션 프레임워크 List, set, map로부터 straem을 만들어서 같은 방식으로 작업스트림 연산 과정 : 스트림 생성
입력 객체의 유효성 검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예를 들어 회원가입 시 여러가지 조건들이 존재합니다.1\. 이메일: 이메일 양식에 맞게(example@example.com)2\. 비밀번호: 비밀번호는 최소 8자 이상이며, 대문자, 소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포함 등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