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김동욱·2023년 9월 16일
0

AWS

목록 보기
1/4

AWS 기초

클라우드 컴퓨팅은 IT 리소스를 인터넷을 통해 온디맨드로 제공하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서버 클라이언트 아키텍처 구조에서는 클라이언트 간 정보 교환을 서버를 중심으로 진행합니다. 서버가 없다면 클라이언트 간 직접 통신을 통해 많은 서버 부하가 발생합니다.

데이터 센터는 어플리케이션의 서버를 호스팅하는 시설입니다.

  • 컴퓨팅 시스템을 위한 하드웨어
  • 네트워크 장치
  • 전원 공급 장치
  • 전기 시스템
  • 백업 발전기
  • 환경 제어 장치
  • 운영 인력
  • 기타 인프라

문제점

  1. 운영에 많은 비용이 소모됩니다.
    • 한 번 구매하면 수요에 상관없이 계속 보유해야 합니다.
  2. 느린 구축 시간
    • 유저의 수요에 빠르게 대처하기 힘들고 장애 기기를 교체하는 시간 역시 느립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을 도입했습니다.

장점

  1. 자본 비용을 가변 비용으로 대체합니다: 서버 비용을 운영비로 대체합니다.
  2. 규모의 경제로 얻게 되는 이점: 고객이 많기 때문에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3. 용량 추정이 불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최대 사용량으로 서버를 구성해야 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면 필요한 만큼만 자원을 사용하여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4. 속도 및 민첩성이 개선됩니다: 빠르게 리소스를 확보하고 개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5. 데이터 센서 운영 및 유지 관리에 비용 투자가 불필요합니다: 인프라 관리가 아닌 비즈니스에 자원을 집중할 수 있습니다.
  6. 빠른 확장성: 몇 번의 클릭으로 전 세계에 서비스가 가능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모델

어플리케이션의 구성

클라우드 종류에 따라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과 클라우드 컴퓨팅 배포 모델로 구분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로는 Iaas, Paas, Saas가 있고

배포 모델로는 공개형, 폐쇄형, 혼합형이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 Computing, Storage, Network 만 제공해줍니다.
  • 인프라만 제공
  • OS를 직접 설치하고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서 사용
  • 즉 가상의 컴퓨터를 하나 임대하는 것과 비슷함
  • AWS EC2

Paas(Platform as a Service)

  • Iaas 에서 추가로 Os+Runtime(앱을 실행하기 위한 Runtime)도 제공해줌
  • 인프라 + OS + 기타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부분(런타임)
  • 바로 코드만 올려서 돌릴 수 있도록 구성
  • Firebase, Google App Engine

Saas(Software as a Service )

  • 인프라 + OS + 필요한 소프트웨어가 제공
  • 서비스 자체를 제공
  • 다른 세팅 없이 서비스만 이용
  • Gmail, Dropbox, Slack, Google Docs

클라우드 컴퓨팅 배포 모델

공개형 vs 폐쇄형

공개형

  • 모든 부분이 클라우드에서 실행
  • 낮은 비용
  • 높은 확장성
  • AWS

폐쇄형

  • 높은 수준의 커스터마이징 가능
  • 초기 비용이 비쌈
  • 유지보수 비용이 비쌈
  • 높은 보안

혼합형

  • 폐쇄형과 공개형의 혼합
  • 폐쇄형에서 공개형으로 전환하는 과도기에 사용
  • 혹은 폐쇄형의 백업으로 사용

AWS 구조

리전과 최소 2개 이상의 가용 영역으로 구분됩니다.

리전에 속해있는 부분과 속해있지 않는 부분으로 나뉩니다.

리전

AWS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버의 물리적 위치입니다.

각 리전은 고유의 코드가 부여됩니다.

  • 서울 리전은 ap-northeast-2입니다.

리전별로 가능한 서비스가 다릅니다.

[리전을 선택할 때 고려할 점]

  • 지연속도
  • 법률(데이터, 서비스 제공 관련)
  • 사용 가능한 AWS 서비스

가용 영역 (리전의 하부 단위, AZ):

  • 하나의 리전은 반드시 2개 이상의 가용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하나 이상의 데이터 센터로 구성됩니다.
  • 리전 간의 연결은 매우 빠른 전용 네트워크로 이루어집니다.
  • 가용 영역은 물리적으로 일정 거리 안에 위치해야 합니다.
    • 다만, 모든 가용 영역은 서로 100km 이내의 거리에 있어야 합니다.

엣지 로케이션(Edge Locations)

AWS의 CloudFront(CDN) 등의 여러 서비스를 가장 빠른 속도로 제공하기 위한 거점으로 전 세계의 여러 장소에 흩어져 있습니다.

글로벌 서비스와 리전 서비스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의 기반에 따라 글로벌 서비스와 리전 서비스로 구분됩니다.

글로벌 서비스: 데이터 및 서비스를 전 세계의 모든 인프라가 공유합니다.

ex) CloudFront, IAM, Route53, WAF

리전 서비스: 특정 리전을 기반으로 데이터 및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ex)대부분의 서비스, S3

ARN(Amazon Resource Name): AWS의 모든 리소스의 고유 아이디입니다.

맨 끝에 와일드 카드(*)를 사용하여 다수의 리소스를 지정 가능합니다.


Amazon Web Services 한국 블로그 출처, AWS 강의실

profile
안녕하세요. 공부해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