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 테스트 중에 위 오류를 만났습니다.무슨 의미냐면 변경해주면 된다.다음은 오류입니다.
EC2란? EC2(Amazon Elastic Conpute Cloud)는 안전하고 크기 조정이 가능한 컴퓨팅 파워를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입니다. = 컴퓨팅을 빌려 쓰는 서비스 EC2를 사용하는 예시 서버를 구축할 때 게임서버, 웹서버, 어플리케이션 서버
aws는 루트 유저와 IAM 유저로 나뉩니다.생성한 계정의 모든 권한을 자동으로 가지고 있습니다.생성시 만든 이메일 주소로 로그인합니다.탈취당했을 때 복구가 매우 힘듭니다. 그래서 사용을 자제하고 MFA설정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일회용 비밀번호)루트 유저는 관리용으
쿼츠란 자바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오픈 Job Scheduling 라이브러리입니다.쿼츠를 통해 작업을 정의하고 스케줄을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Spring Batch와 개념이 혼동될 수 있지만 둘은 비슷하면서 다른 동작을 합니다.Batch는 대량의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다음 내용은 남궁성의 정석코딩 스트림편 을 보며 참고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표준화된 방법으로 다루기 위한 것입니다.배열이나 컬렉션 프레임워크 List, set, map로부터 straem을 만들어서 같은 방식으로 작업스트림 연산 과정 : 스트림 생성
Collection은 여러 종류의 데이터 구조가 공통으로 가져야 하는 기능을 정의해줍니다. (add(), remove(),isEmpty())Collections은 컬렉션 데이터를 조작하기 위한 다양한 유틸리티 함수를 제공해줍니다. (sort(),reverse())lis
charAt() : 지정된 인덱스 위치의 문자를 반환해줍니다.indexOf() : 특정 문자의 위치를 반환해줍니다.length() : 문자열의 길이를 반환해줍니다.substring() : 시작 인덱스와 끝 인덱스 사이의 부분 문자열을 반환해줍니다.equals() : 주
커리커리에서 봤던 기술 면접 대비를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1. index란? 무분별한 자료들을 효율적으로 검색하기 위해서 검색 기준이 되는 값을 미리 정렬해둔 데이터 구조를 만들어 놓는 것. 주로 배열 형태로 만들어짐 2. final 키워드 사용 final은 한
round Half up 에 의해서 -1이 됩니다.더 큰쪽으로 반올림됨string 은 참조 데이터 타입으로써 기본 데이터 타입과 유사하게 불변성과 리터럴을 사용한 초기화 방식 때문에 기본 데이터 타입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참조형입니다.참조 타입에는 클래스, 인터페이스,
JWT는 JSON Web Token의 약자로 인증에 필요한 정보들을 Token에 담은 JSON입니다. 이 정보는 디지털 서명이 되어 있어서 검증 및 신뢰할 수 있으며 변조를 체크할 수 있습니다. JWT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JSON 형태로 저장된 각 부분은 B
mailgun 을 사용하려던 와중 생긴 오류무료 계정이면 테스트 용도로만 사용 가능하고 업그레이드를 하거나 수신자 주소 계정을 인증받아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수신하고자 하는 계정을 입력한 뒤 해당 메일에서 인증 확인을 하면 끝Mailgun api 요청이 제대로 이뤄지지
다음과 같은 오류 해결 방법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 추가해주기application.yml 이라면어떤 이유(다른 라이브러리나 설정 등등)로 인해 경로가 변경되었고 그 영향을 springFox도 받기 때문에 해당 설정을 추가해줘서 기본 동작 방식으
static은 잘 이해한다면 코드의 유연성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static변수와 메서드 등 개념을 살펴보고 그 사용법, 단점까지 알아보겠습니다.static이란 '정적인'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static이 붙은 변수와 메서드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해주는 객체로 데이터 크기를 가변적으로 변경해줍니다.배열을 직접 다룰 필요없이 값을 add(), remove(), clear(), size()해주게 됩니다. 데이터 관리를 직접 할 필요가 없다.배열은 값을 추가할 때 배열을 늘리고 값을 복사하고 새
개발자가 컬렉션에 저장되어 있는 요소들, 특히 리스트에 접근하는데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입니다.Collection이란 자바에서 제공하는 자료구조들의 인터페이스로 List, ArrayList, set,Queue, LinkedList가 이를 상속받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컬렉
영속성(persistence) 영속성이란 말이 처음엔 잘 와닿지 않죠 쉽게 말해서 지속성을 의미합니다. 어학사전에선 정도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영속성은 데이터를 생성한 후 수정하거나 삭제하기 전까지 데이터를 유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영속성을 가진다, 영속성을
docker로 mysql서버를 열어 인텔리제이에서 연결하려고 하는데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열심히 구글에 검색해보니 (using password: No) 이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았을 때, (using password: yes)는 비밀번호를 잘못 입력했
인덱스란? 인덱스란 무분별한 자료에서 특정 자료들을 효율적으로 검색하기 위해서 검색 기준이 되는 값을 미리 정렬해둔 데이터 구조로 만들어 놓은 것입니다. 이 데이터 구조는 실제 DB와 pointer로 연결되어 실제 튜플을 빠르게 탐색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래서 빠르게
캐시(Cache) 캐시는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보관해둔 임시 장소를 의미하며 비용이 비싸고 저장 공간이 적습니다. 일반적으로 도중에 변경될 일 없는 데이터베이스 조회 값이나 자주 호출되는 데이터에 쓰입니다. 캐시의 종류 로컬 캐시 로컬에서만 사용하는 캐시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