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Internet Protocol)
- TCP/IP 프로토콜 스택에서 인터넷 계층으로 인터넷에서 생성 및 사용되는 주소로 네트워크 환경에서 내 컴퓨터의 주소라 할 수 있다.
- 네트워크 환경에서 컴퓨터(노드)간 통신하기 위해 각 컴퓨터의 부여된 네트워크상의 주소
- ex) 192.168.0.103
- 네트워크 주소(192.168.0): 공통 영역
- 호스트 주소(103): 중복이 없는 식별자 역할의 값
- 실제로는 32자리의 2진수로 이뤄저 있으며 위의 나온 192.168.0.103이라는 IP주소는 실제로는 다음과 같이 표기된다.
❗11000000.10101000.00000000.01100111
- IP주소는 0 ~ 232232 개 정도 만들 수 있다.
- 하지만 대부분 사용돠고 있어 IPv6로 대체중이다.
IP 패킷 정보
- 노드끼리는 IP주소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데이터 전달 단위를 패킷(Packet)이라 한다.
- 패킷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Payload :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한 블록
주소지 정보: 발신지, 목적지 주소
관리 정보: Header, IPv6과 같이 망이 패킷을 목적으로 전달하는데 필요한 정보
IP 의 한계점
1.비연결성: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거나 서비스가 불가능해도 패킷을 전송한다.
패킷 정보
2.비신뢰성: 패킷이 중간에 소실될 수도 있고 순서도 보장되지 않는다.
패킷이 소실되는 경우
패킷 순서가 보장되지 않는 경우
3.구분의 모호함: 같은 IP를 사용하는 하나의 서버에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중일 경우 어뜬 어플리케이션에 패킷을 전달해야 할 지 알 수 없다.
참조
인프런 김영한님 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