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checkout <commit_id>
commit id를 통해 특정 버전으로 버전으로 이동
특정 버전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버전 구분할 줄 알아야 함
- hash code : commit 옆에 있는 문자 (7자리 까지도 ok)
• 그 버전의 상태로 Working Director
y 가 변경
• HEAD 가 Checkout 한 버전을 가리킴
c1 버전으로 checkout을 했을 때 head가 c1 버전으로
프로젝트 코드를 여러개로 복사해서 작업하는 경우 생김
• 원래 코드와 상관없이 복사해서 독립적으로 개발 가능
• 개발 결과물 나온 후 원래 코드와 병합 필요
git에서는 branch 기능 제공
• 원래 코드를 복사하여 독립적으로 개발할때 사용
• 특정 버전에서 새로운 Branch 를 만들어서 작업하다가 병합(merge)할 수 있음.
• Repository 를 생성하면 main branch 가 디폴트로 만들어짐.
main이 최초에 디폴트로 생겨서 버전을 만들어가다가
c2 버전에서 branch를 생성하면 dev가 c2를 가리키다가
dev에서 commit을 하는 순간 dev branch의 버전이 늘어나면서 별도로 관리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