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설명
신입사원 무지는 게시판 불량 이용자를 신고하고 처리 결과를 메일로 발송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려 합니다. 무지가 개발하려는 시스템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각 유저는 한 번에 한 명의 유저를 신고할 수 있습니다.
- 신고 횟수에 제한은 없습니다. 서로 다른 유저를 계속해서 신고할 수 있습니다.
- 한 유저를 여러 번 신고할 수도 있지만, 동일한 유저에 대한 신고 횟수는 1회로 처리됩니다.
- k번 이상 신고된 유저는 게시판 이용이 정지되며, 해당 유저를 신고한 모든 유저에게 정지 사실을 메일로 발송합니다.
- 유저가 신고한 모든 내용을 취합하여 마지막에 한꺼번에 게시판 이용 정지를 시키면서 정지 메일을 발송합니다.
다음은 전체 유저 목록이 ["muzi", "frodo", "apeach", "neo"]이고, k = 2(즉, 2번 이상 신고당하면 이용 정지)인 경우의 예시입니다.
유저 ID 유저가 신고한 ID 설명 "muzi" "frodo" "muzi"가 "frodo"를 신고했습니다. "apeach" "frodo" "apeach"가 "frodo"를 신고했습니다. "frodo" "neo" "frodo"가 "neo"를 신고했습니다. "muzi" "neo" "muzi"가 "neo"를 신고했습니다. "apeach" "muzi" "apeach"가 "muzi"를 신고했습니다. 위 예시에서는 2번 이상 신고당한 "frodo"와 "neo"의 게시판 이용이 정지됩니다. 이때, 각 유저별로 신고한 아이디와 정지된 아이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유저 ID 유저가 신고한 ID 정지된 ID "muzi" ["frodo", "neo"] ["frodo", "neo"] "frodo" ["neo"] ["neo"] "apeach" ["muzi", "frodo"] ["frodo"] "neo" 없음 없음 따라서 "muzi"는 처리 결과 메일을 2회, "frodo"와 "apeach"는 각각 처리 결과 메일을 1회 받게 됩니다.
이용자의 ID가 담긴 문자열 배열 id_list, 각 이용자가 신고한 이용자의 ID 정보가 담긴 문자열 배열 report, 정지 기준이 되는 신고 횟수 k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 유저별로 처리 결과 메일을 받은 횟수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2 ≤ id_list의 길이 ≤ 1,000
- 1 ≤ id_list의 원소 길이 ≤ 10
- id_list의 원소는 이용자의 id를 나타내는 문자열이며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id_list에는 같은 아이디가 중복해서 들어있지 않습니다.
- 1 ≤ report의 길이 ≤ 200,000
- 3 ≤ report의 원소 길이 ≤ 21
- report의 원소는 "이용자id 신고한id"형태의 문자열입니다.
- 예를 들어 "muzi frodo"의 경우 "muzi"가 "frodo"를 신고했다는 의미입니다.
- id는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이용자id와 신고한id는 공백(스페이스)하나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자기 자신을 신고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 1 ≤ k ≤ 200, k는 자연수입니다.
- return 하는 배열은 id_list에 담긴 id 순서대로 각 유저가 받은 결과 메일 수를 담으면 됩니다.
입출력 예
id_list report k result ["muzi", "frodo", "apeach", "neo"] ["muzi frodo","apeach frodo","frodo neo","muzi neo","apeach muzi"] 2 [2,1,1,0] ["con", "ryan"] ["ryan con", "ryan con", "ryan con", "ryan con"] 3 [0,0]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ryan"이 "con"을 4번 신고했으나, 주어진 조건에 따라 한 유저가 같은 유저를 여러 번 신고한 경우는 신고 횟수 1회로 처리합니다. 따라서 "con"은 1회 신고당했습니다. 3번 이상 신고당한 이용자는 없으며, "con"과 "ryan"은 결과 메일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0, 0]을 return 합니다.제한시간 안내
정확성 테스트 : 10초
처음에는 '객체의 상태 변화가 생기면 옵저버 목록에 있는 옵저버(observer)들에게 변화를 알려주는 옵저버 패턴(Observer Pattern)
으로 구현하면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했었다. 그러나 문제를 다시 살펴보니 옵저버 패턴과는 구현해야 하는 양상이 달랐다. 옵저버 패턴은 변화가 생긴 시점에 관찰자들에게 변화를 알려주지만, 해당 문제는 모든 변화가 다 일어난 다음에 관찰자들에게 변화를 알려주어야 했다. (메일링)
유저가 신고한 모든 내용을 취합하여 마지막에 한꺼번에 게시판 이용 정지를 시키면서 정지 메일을 발송합니다.
또한, 처음에는 '피신고자'와 '각 피신고자를 신고한 신고자들'을 HashMap<String,String>으로 관리했다. 신고자들 목록은 단순 공백으로 구분해서 String형태로 관리하도록 말이다.
public int[] solution(String[] id_list, String[] report, int k) {
Map<String, String> reportResultMap = new HashMap<>();
int[] mails = new int[id_list.length];
//Set<String> set = new HashSet<>(); // deduplication way - 2
// deduplication way - 1
// String Array -> Object Stream -> String Array
report = Arrays.stream(report).distinct().toArray(String[]::new);
for (String report_id : report) {
//if (set.add(report_id)) {
String reported = report_id.split(" ")[1];
String reporter = report_id.split(" ")[0];
if (reportResultMap.containsKey(reported)) {
reportResultMap.put(reported, reportResultMap.get(reported) + " " + reporter);
} else {
reportResultMap.put(reported, reporter);
}
String[] reporter_list = reportResultMap.get(reported).split(" ");
if (reporter_list.length == k) {
for (String tmp : reporter_list) {
for (int i = 0; i < id_list.length; i++) {
if (tmp.equals(id_list[i]))
mails[i]++;
}
}
}
if (reporter_list.length > k) {
for (int i = 0; i < id_list.length; i++) {
if (reporter.equals(id_list[i]))
mails[i]++;
}
}
//}
}
return mails;
}
테스트 1 〉 통과 (9.85ms, 75.5MB)
테스트 2 〉 통과 (10.09ms, 81.3MB)
테스트 3 〉 통과 (1396.59ms, 477MB)
테스트 4 〉 통과 (12.78ms, 79.2MB)
테스트 5 〉 통과 (10.77ms, 91.6MB)
테스트 6 〉 통과 (19.00ms, 93.6MB)
테스트 7 〉 통과 (27.72ms, 95.5MB)
테스트 8 〉 통과 (26.19ms, 108MB)
테스트 9 〉 통과 (684.26ms, 416MB)
테스트 10 〉 통과 (551.70ms, 423MB)
테스트 11 〉 통과 (1246.22ms, 522MB)
테스트 12 〉 통과 (14.83ms, 79.6MB)
테스트 13 〉 통과 (15.34ms, 85.8MB)
테스트 14 〉 통과 (385.20ms, 226MB)
테스트 15 〉 통과 (452.71ms, 391MB)
테스트 16 〉 통과 (12.71ms, 75.5MB)
테스트 17 〉 통과 (10.79ms, 79.5MB)
테스트 18 〉 통과 (13.80ms, 86.1MB)
테스트 19 〉 통과 (16.91ms, 85.4MB)
테스트 20 〉 통과 (445.50ms, 232MB)
테스트 21 〉 통과 (708.48ms, 384MB)
테스트 22 〉 통과 (1.34ms, 73.3MB)
테스트 23 〉 통과 (2.03ms, 77.5MB)
테스트 24 〉 통과 (1.30ms, 73.3MB)
그런데 어차피 피신고자와 각 신고자목록은 연관되어 있으므로
이를 조금 더 객체지향적으로 접근하여
캡슐화(연관 있는 변수와 함수를 클래스로 묶는 작업)
를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ReportResult
클래스를 따로 생성하여 reported
(피신고자)와 reporterList
(신고자 목록)으로 따로 관리해주었다.
또한, 구현하는 데에 급급하여 문제의 키포인트를 제대로 잡지 않고 문제를 풀기 시작했더니 구현은 성공했지만 성능이 조금 아쉬웠다. 그리하여 다시 생각해본 문제의 Key Point는 두 가지다.
1) '피신고자의 신고자 수'가 패널티 기준이었기 때문에 신고자 '수'를 효율적으로 가져오기
2) 각 신고자들의 메일링 카운트(본인이 신고한 사람 중 패널티를 받은 사람 수)를 최종적으로 리턴하기 위해 패널티 받은 피신고자의 신고자들을 효율적으로 조회하기
따라서 문제 풀이에 필요한 반환 값들을 중심으로 성능을 조금 더 효율적으로 개선시키고자 하였다.
1) 피신고자의 신고자 수는 각 reportResult 객체의 getReportList().size()
로,
2) 특정 피신고자의 신고자목록 조회는 조회 속도가 빠른 HashMap을 이용하여, id(key
)로 id_list의 index(value
)를 조회할 수 있도록 구현했다.
그러나 TC를 돌려보니 패널티 조건(if(reportResults.get(i).getReportList().size() >= k)
)에 걸리는 요소가 하나도 없어서 mails 배열에 요소가 제대로 담기지 않았다.
각 피신고자(id) 별로 신고자 목록을 구현해야 했는데, 모든 신고 케이스별로 reportResult 객체를 생성했기 때문이다.
class Solution {
class ReportResult {
String reported;
List<String> reporterList; // 선언
public ReportResult(String reported) {
this.reported = reported;
reporterList = new ArrayList<>(); // 새로운 객체 만들어질 때마다 reportList 리스트 생성
}
public List<String> getReportList() {
return reporterList;
}
}
public int[] solution(String[] id_list, String[] report, int k) {
List<ReportResult> reportResults = new ArrayList<>();
int[] mails = new int[id_list.length]; // 신고인이 메일 받은 횟수
Map<String,Integer> idxList = new HashMap<>(); // 각 id별 인덱스 조회용
for(int i=0; i<id_list.length; i++) {
idxList.put(id_list[i], i);
}
Set<String> set = new HashSet<>();
for(String id : report){
if(set.add(id)) {
// Problem Point
ReportResult reportResult = new ReportResult(id.split(" ")[1]);
reportResult.getReportList().add(id.split(" ")[0]);
reportResults.add(reportResult);
}
}
for(int i=0; i< reportResults.size(); i++){
if(reportResults.get(i).getReportList().size() >= k){
for(String reporter : reportResults.get(i).getReportList()) {
mails[idxList.get(reporter)]++;
}
}
}
return mails;
}
}
ReportResult
의 reported
멤버변수는 reporterList
멤버변수와 따로 생성해주었다.
피신고자은 모든 id를 돌리는(id_list
) 루프문에서, 피신고자의 신고인 목록은 신고 케이스를 돌리는(report
) 루프문에서 조회하고 생성하여, 피신고자별로 신고인 리스트를 추가해주었다.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class ReportResult {
String reported;
List<String> reporterList;
public ReportResult(String reported) {
this.reported = reported;
reporterList = new ArrayList<>();
}
public List<String> getReportList() {
return reporterList;
}
}
public int[] solution(String[] id_list, String[] report, int k) {
List<ReportResult> reportResults = new ArrayList<>();
int[] mails = new int[id_list.length];
Map<String,Integer> idxList = new HashMap<>();
for(int i=0; i<id_list.length; i++) {
idxList.put(id_list[i], i);
// Solution Point
reportResults.add(new ReportResult(id_list[i]));
}
Set<String> set = new HashSet<>();
for(String id : report){
if(set.add(id)) {
// Solution Point
reportResults.get(idIndx.get(id.split(" ")[1]))
.getReportList()
.add(id.split(" ")[0]);
}
}
for(ReportResult reportResult : reportResults){
if(reportResult.getReportList().size() >= k){
for(String reporter : reportResult.getReportList()) {
mails[idxList.get(reporter)]++;
}
}
}
return mails;
}
}
테스트 1 〉 통과 (0.43ms, 83.9MB)
테스트 2 〉 통과 (0.47ms, 78.7MB)
테스트 3 〉 통과 (146.61ms, 182MB)
테스트 4 〉 통과 (0.56ms, 79.1MB)
테스트 5 〉 통과 (0.69ms, 66.4MB)
테스트 6 〉 통과 (4.19ms, 74.6MB)
테스트 7 〉 통과 (6.24ms, 89.1MB)
테스트 8 〉 통과 (11.39ms, 94.5MB)
테스트 9 〉 통과 (107.33ms, 126MB)
테스트 10 〉 통과 (74.84ms, 133MB)
테스트 11 〉 통과 (140.17ms, 172MB)
테스트 12 〉 통과 (2.33ms, 74.8MB)
테스트 13 〉 통과 (1.69ms, 80MB)
테스트 14 〉 통과 (102.26ms, 139MB)
테스트 15 〉 통과 (118.02ms, 153MB)
테스트 16 〉 통과 (1.44ms, 80.9MB)
테스트 17 〉 통과 (1.62ms, 74.5MB)
테스트 18 〉 통과 (2.51ms, 79.6MB)
테스트 19 〉 통과 (3.09ms, 75.8MB)
테스트 20 〉 통과 (72.02ms, 139MB)
테스트 21 〉 통과 (136.16ms, 149MB)
테스트 22 〉 통과 (0.35ms, 77.2MB)
테스트 23 〉 통과 (0.60ms, 85.7MB)
테스트 24 〉 통과 (0.34ms, 79.1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