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명시적 가용 리스트를 이용한 동적 메모리 할당기 구현하기(MALLOC-LAB) (3)

piopiop·2021년 1월 20일
2

C

목록 보기
8/9

이번에는 명시적 가용 리스트(explicit free list)를 이용한 할당기를 구현해 보자.

명시적 가용 리스트

명시적 가용 리스트는 가용 블록을 일종의 명시적 자료구조로 구성해 가용 리스트들을 모두 연결한다.

가용 블록header와 footer를 제외한 영역은 할당되어 데이터가 들어가기 전까지 사용하지 않는 영역이다.
그래서 가용 블록의 내부에 사용하지 않는 영역에 내 이전 가용 블록다음 가용 블록을 가리키는 포인터 두 개를 넣는다.
이 가용 블록 내부의 두 개의 포인터로 인해 가용 리스트는 이중 연결 가용리스트로 구성될 수 있다.

묵시적 가용 리스트 대신 이중 연결 리스트를 사용하면 first fit 할당 시간을 전체 블록 수에 비례하는 것에서 가용 블록 수에 비례하는 것으로 줄일 수 있다.

명시적 가용 리스트를 사용할 때 가용 블록을 어떤 방식으로 정렬하는 가에 따라 블록의 반환 시간은 리스트의 크기에 비례하거나 상수 시간을 가질 수 있다.

(1)후입선출(LIFO)
한 가지 방법은 새롭게 반환한 블록들을 리스트의 처음에 삽입하고 first fit을 사용하는 후입선출(LIFO) 방식이다. 이 경우 블록의 반환은 상수 시간에 수행된다. header와 footer를 사용해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한다면 가용 블록의 연결도 상수 시간에 수행된다.

(2)주소 순으로 정렬
또 다른 방법은 리스트를 주소 순으로 정렬해 리스트 내 각 블록의 주소가 다음 블록의 주소보다 작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블록을 반환할 때 리스트 내에서 블록이 들어갈 위치를 찾아야 하므로 선형 검색 시간을 필요로 한다. 주소 순으로 정렬하는 방식은 후입선출 방식보다 좀 더 좋은 메모리 이용도를 가진다.

명시적 리스트의 단점은 가용 블록이 header와 footer 뿐만 아니라 필요한 포인터까지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최소 블록 크기가 커지고 잠재적인 내부 단편화 가능성 또한 증가한다.
32bit 운영체제에서 최소 블록 크기는 header(4) + footer(4) + pointer(4) x 2 = 16byte이다.

코드

후입선출(LIFO)방식의 코드를 살펴보겠다.

이번 코드에서는 더블 포인터를 이용해 가용 블록 내부 포인터에 앞, 뒤 가용 블록의 주소를 넣어주었다.
더블 포인터를 사용하지 않고 GET, PUT 매크로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include <assert.h>
#include <unistd.h>
#include <string.h>
#include <sys/mman.h>
#include <errno.h>
#include "mm.h"
#include "memlib.h"

#define	WSIZE		
#define	DSIZE		
#define CHUNKSIZE (1<<12) 
#define MAX(x, y) ((x) > (y)? (x) : (y))
#define PACK(size, alloc) ((size) | (alloc))
#define GET(p)		(*(unsigned int *)(p)) 
#define PUT(p, val)	(*(unsigned int *)(p) = (val)) 
#define GET_SIZE(p)	(GET(p) & ~0x7) 
#define GET_ALLOC(p)	(GET(p) & 0x1) 
#define HDRP(bp)	((char *)(bp) - WSIZE)
#define FTRP(bp)	((char *)(bp) + GET_SIZE(HDRP(bp)) - DSIZE)
#define NEXT_BLKP(bp)	((char *)(bp) + GET_SIZE(HDRP(bp)))
#define PREV_BLKP(bp)	((char *)(bp) - GET_SIZE(HDRP(bp) - WSIZE))
#define PREC_FREEP(bp)  (*(void**)(bp))          // *(GET(PREC_FREEP(bp))) == 다음 가용리스트의 bp //Predecessor
#define SUCC_FREEP(bp)  (*(void**)(bp + WSIZE))     // *(GET(SUCC_FREEP(bp))) == 다음 가용리스트의 bp //successor


static void *extend_heap(size_t words);
static void *coalesce(void *bp);
static void *find_fit(size_t asize);
static void place(void*bp, size_t asize);
void removeBlock(void *bp);
void putFreeBlock(void *bp);
static char *heap_listp = NULL;
static char *free_listp = NULL; // 가용리스트의 첫번째 블록을 가리키는 포인터

int mm_init(void)
{
	heap_listp = mem_sbrk(24); 
    if (heap_listp == (void*)-1)
    {
        return -1;
    }
    PUT(heap_listp, 0); //패딩
    PUT(heap_listp + WSIZE, PACK(16, 1)); //프롤로그 헤더
    PUT(heap_listp + 2*WSIZE, NULL); //프롤로그 PREC 포인터 NULL로 초기화
    PUT(heap_listp + 3*WSIZE, NULL); //프롤로그 SUCC 포인터 NULL로 초기화
    PUT(heap_listp + 4*WSIZE, PACK(16, 1)); //프롤로그 풋터
    PUT(heap_listp + 5*WSIZE, PACK(0, 1)); //에필로그 헤더
    
    free_listp = heap_listp + DSIZE; // free_listp 초기화
    //가용리스트에 블록이 추가될 때 마다 항상 리스트의 제일 앞에 추가될 것이므로 지금 생성한 프롤로그 블록은 항상 가용리스트의 끝에 위치하게 된다.

    if (extend_heap(CHUNKSIZE/DSIZE) == NULL)
    {
        return -1;
    }
    return 0;
}

static void *extend_heap(size_t words)
{
	size_t size;
    char * bp;
    size = words * DSIZE;
    if ((bp = mem_sbrk(size)) == (void*)-1) 
        return NULL; 

PUT(HDRP(bp), PACK(size, 0));
    PUT(FTRP(bp), PACK(size, 0));
    PUT(HDRP(NEXT_BLKP(bp)), PACK(0, 1));
    return coalesce(bp);
}

void *mm_malloc(size_t size)
{
    void* bp;
    size_t extend_size;
    size_t asize;
    
    if (size == 0)
        return NULL;
    
    if (size <= DSIZE){
        asize = 2 * DSIZE;
    }else{
        asize = DSIZE * ((size + (DSIZE) + (DSIZE-1)) / DSIZE); 
    }
    
    if ((bp = find_fit(asize)) != NULL){
        place(bp, asize);
        return bp;
        
    extend_size = MAX(asize, CHUNKSIZE);
    bp = extend_heap(extend_size/DSIZE);
    if (bp == NULL)
        return NULL;
    place(bp, asize);
    return bp;
}

static void *find_fit(size_t asize)
{
    // first fit
    void * bp;
    bp = free_listp;
    //가용리스트 내부의 유일한 할당 블록은 맨 뒤의 프롤로그 블록이므로 할당 블록을 만나면 for문을 종료한다.
    for (bp; GET_ALLOC(HDRP(bp)) != 1; bp = SUCC_FREEP(bp)){
        if (GET_SIZE(HDRP(bp)) >= asize){
            return bp;
        }
    }
    return NULL;
}

static void place(void*bp, size_t asize)
{
    size_t csize;
    csize = GET_SIZE(HDRP(bp));
    // 할당될 블록이니 가용리스트 내부에서 제거해준다.
    removeBlock(bp);
    if (csize - asize >= 16){
        PUT(HDRP(bp), PACK(asize, 1));
        PUT(FTRP(bp), PACK(asize, 1));
        bp = NEXT_BLKP(bp);
        PUT(HDRP(bp), PACK(csize-asize, 0));
        PUT(FTRP(bp), PACK(csize-asize, 0));
        // 가용리스트 첫번째에 분할된 블럭을 넣는다.
        putFreeBlock(bp);
    }else{
        PUT(HDRP(bp), PACK(csize, 1));
        PUT(FTRP(bp), PACK(csize, 1));
    }
}

//새로 반환되거나 생성된 가용 블록을 가용리스트 맨 앞에 추가한다.
void putFreeBlock(void *bp)
{
    SUCC_FREEP(bp) = free_listp;
    PREC_FREEP(bp) = NULL;
    PREC_FREEP(free_listp) = bp;
    free_listp = bp;
}

//항상 가용리스트 맨 뒤에 프롤로그 블록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조건을 간소화할 수 있다.
void removeBlock(void *bp)
{
    // 첫번째 블럭을 없앨 때 
    if (bp == free_listp){
        PREC_FREEP(SUCC_FREEP(bp)) = NULL;
        free_listp = SUCC_FREEP(bp);
    // 앞 뒤 모두 있을 때
    }else{
        SUCC_FREEP(PREC_FREEP(bp)) = SUCC_FREEP(bp);
        PREC_FREEP(SUCC_FREEP(bp)) = PREC_FREEP(bp);
    }
}

void mm_free(void *bp)
{   
    size_t size = GET_SIZE(HDRP(bp));
    PUT(HDRP(bp), PACK(size, 0));
    PUT(FTRP(bp), PACK(size, 0));
    coalesce(bp);
}

static void *coalesce(void *bp)
{
    size_t prev_alloc = GET_ALLOC(HDRP(PREV_BLKP(bp)));
    size_t next_alloc = GET_ALLOC(HDRP(NEXT_BLKP(bp)));
    size_t size = GET_SIZE(HDRP(bp));
    
    //이미 가용리스트에 존재하던 블록은 연결하기 이전에 가용리스트에서 제거해준다.
    if (prev_alloc && !next_alloc){
        removeBlock(NEXT_BLKP(bp));
        size += GET_SIZE(HDRP(NEXT_BLKP(bp)));
        PUT(HDRP(bp), PACK(size, 0));
        PUT(FTRP(bp), PACK(size, 0));
    }
    else if (!prev_alloc && next_alloc){
        removeBlock(PREV_BLKP(bp));
        size += GET_SIZE(HDRP(PREV_BLKP(bp)));
        bp = PREV_BLKP(bp);
        PUT(HDRP(bp), PACK(size, 0));
        PUT(FTRP(bp), PACK(size, 0));
    }
    else if (!prev_alloc && !next_alloc){
        removeBlock(PREV_BLKP(bp));
        removeBlock(NEXT_BLKP(bp));
        size += GET_SIZE(HDRP(NEXT_BLKP(bp))) + GET_SIZE(HDRP(PREV_BLKP(bp)));
        PUT(HDRP(PREV_BLKP(bp)), PACK(size, 0));
        PUT(FTRP(NEXT_BLKP(bp)), PACK(size, 0));
        bp = PREV_BLKP(bp);
    }
    //연결된 블록을 가용리스트에 추가
    putFreeBlock(bp);
	return bp;
}

void *mm_realloc(void *bp, size_t size){
    if(size <= 0){ 
        mm_free(bp);
        return 0;
    }
    if(bp == NULL){
        return mm_malloc(size); 
    }
    void *newp = mm_malloc(size); 
    if(newp == NULL){
        return 0;
    }
    size_t oldsize = GET_SIZE(HDRP(bp));
    if(size < oldsize){
    	oldsize = size; 
	}
    memcpy(newp, bp, oldsize); 
    mm_free(bp);
    return newp;
}

피드백 환영합니다.
-끝-

profile
piopiop1178@gmail.com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