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몬 >('http://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미몬'이하 '미몬')은(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
특별한 연산이나 알고리즘보다는 어떠한 규칙성이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그림을 그려가며 접근하려고 했다. 따라서 주어진 입출력외의 또 다른 테스트케이스를 만들어서 그림을 그려보았다.어떠한 사각형의 꼭지점을 지나는 점을 기점으로 규칙적인 모양이 반복되고 있었고 그
 반복문을 통해 라운드가 진행될
![](https://velog.velcdn.com/images/pinocchio22/post/faef8809-e9a4-44c6-b2f8-a6c663cbaeb3/imag
확실히 배열의 크기를 알수있을때는 미리 크기를 정하는게 확실히 속도가 빠르다는거 알 수 있었다.그리고 계속 테스트케이스의 뒷부분으로 갈수록 통과를 못했었는데, 문제를 찾다보니 형변환의 시점때문이라는걸 알 수 있었다. Long형태로 입력받은 변수를 Int형으로 바꾸고 연
이번문제는 예시를 봐야 이해가 훨씬 잘되는 것 같아서 예시를 첨부했다. 대충 문자별로 인덱스를가지고 어찌저찌 연산을 하는 방법으로 생각중인데 문제에 디테일한 부분이 좀 부족한 것 같다.예를들어 AAAE다음이 AAAEA인것 같은데 AAAI로 헷갈리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문제의 카테고리는 깊이/너비우선탐색이다. 학교다닐때 알고리즘 수업을 아예 안듣다시피해서 아무것도 모른다고 봐도 과언이아니다. 그래서 알고리즘 문제가 나오면 항상 막막하고 인터넷에서 해당 알고리즘에 대하여 공부부터하고 코딩을 했었다. 알고리즘을 떠나 이 문제를 보고 떠
![](https://images.velog.io/images/pinocchio22/post/e884f735-9170-49e7-8f43-653c5c59725c/image.p
이번 문제도 카테고리가 큐/스택 이기때문에 queue에 while문을 잘 이용해서 풀어봐야겠다.먼저 같은 중요도의 작업들이 있을 수 있으므로 priorities의 원소들에 번호를 붙여서 로직을 돌리고 마지막에 location의 순서를 리턴해주면 될 것 같다. 문제는 대
스택이나 큐를 사용해서 문제를 다시 풀기로했으니 공부를 조금 하고 가보자. 작업 완성까지 걸리는 날짜를 구하는 부분은 그대로 사용해도 될 듯하고, 대신 그 날짜들을 queue에 넣어서 하나씩 빼면서 원하는 값을 얻어야 한다. 그러므로 저번에 사용해보았던 queue의 함
이번 문제는 카테고리가 스택/큐 였지만 문제를 읽어보다보니 굳이 스택이나 큐를 사용하지 않고도 풀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결국 중요한건 작업이 배포되기까지의 시간이기 때문에 그 시간만 구해서 잘 비교하면 될 것 같다. 정리해보자면완료될때까지의 날짜를 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