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sidian 사용하기

jeonbang123·2023년 9월 21일
0

1. obsidian vault 생성해보자

create new vault (vault는 obsidian 폴더라고 생각하면 될듯)

Create를 클릭하면 아래처럼 vault 생성 화면이 나온다.

이름은 note로 하고, 경로는 문서에다가 만들었다.

따란 끝!!

2. 이제 그럼 obsidian vault랑 git을 연동해보자.

우선 간단하게 odsidian-note라고 repo 생성했다.

vault 경로에서 git remote를 해보자
우선 git bash를 열어서 아래 명령어 입력 하기

 git init
 git remote add master https://github.com/pensieve92/obsidian-note.git

그리고 .gitignore 파일 추가하기 (.으로 시작하는 파일은 obsidian에서는 생성이 안되네.. 다른 편집기로 만들어서 넣어 주었음)
아래 obsidian 설정 폴더 .gitignore에 추가하기

.obsidian

다시 git bash로 가서 .gitignore를 추가해주자

굳이 git status로 상태 확인해보니, .gitignore에 추가하 .obsidian 폴더는 git stage에서 잘 제외 되었다.

$ git status
On branch master

No commits yet

Untracked files:
  (use "git add <file>..." to include in what will be committed)
        .gitignore

nothing added to commit but untracked files present (use "git add" to track)

확인 했으니 push 진행해보자.

git add .
git commit -m 'init obsidian'
git push --set-upstream master master

그럼 git연결도 끝!!

3. ~그럼 마지막으로 obsidian에서 git plugin설치 하기~

왼쪽 하단의 톱니바퀴에서 Community plugins 에서 Community plugins Turn on 하고 Browse 클릭해서 obsidian git 검색해서 설치 하기

설치하고 플러그인 활성화 해주면 끝

나머지 유용한 플러그인들이 있다고 했는데 그건 나중에 알아보자...
ㅂ2


plugin에서 push 잘되는지 확인 해보면..음 안보이네
걍 자동 백업하는 기능을 사용하는건가.. 수동으로 하는게 어디있을거 같은데
없어여.. 아니 없어여

인텔리제이에서 git 커밋 푸쉬하는거 생각했는데, 이 플러그인 안쓰고 수동으로 사용해야 겠다..

auto commit 잘되는지만 확인해보자
Vault backup interval(minutes) 1분마다 자동으로 백업되게 테스트해보자

오오 잘됨!! ㅂㅂ1

profile
Design Awesome Style Code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