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리즈는 GIMP 사용자 설명서를 통해 공부한 흔적임을 밝힙니다.
GNU Image Manipulation Program
- 자유소프트웨어 재단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모음집 GNU 프로젝트에 포함되어 있는 사진 편집 프로그램
- GPL 라이선스 하에 배포되는 FOSS(Free&OpenSource Software)
- Linux, Windows, Mac 등 다양한 운영체제 지원
- 사진 편집이나 이미지 생성 및 편집 등 다양한 이미지 편집 작업 가능
- Adobe Photoshop을 대체하는 FOSS로 각광받기도...?
GIMP 사용자 설명서에서 말하는 김프의 기능과 특징들
- 브러쉬, 펜슬, 에어브러쉬, 도장 등 모든 페인팅 도구 제공
- 타일처리 기반의 메모리 관리로 디스크 여유 용량만큼의 이미지 처리 가능
- 모든 페인트 도구에 고화질의 안티알리아싱을 지원하는 서브픽셀 샘플링
- 투명 작업을 위한 완벽한 알파 채널의 지원
- 레이어 및 채널 지원
- Script-Fu처럼 외부 프로그램으로 지원되지만 GIMP 내부 기능이라고 불리는 절차적 데이터베이스
- 향상된 스크립팅 성능
- 다단계의 실행취소/재실행 (디스크 용량의 여유분만큼 가능)
- 회전, 배율 조정, 기울이기, 뒤집기 등의 이미지 변형 툴 지원
- 다양한 파일 포맷 지원 (GIF, JPEG, PNG, XPM, TIFF, TGA, MPEG, PS, PDF, PCX, BMP 등 외 다수)
- 직사각형, 타원, 자유 선택, 퍼지, 베지어 곡선 및 지능적인 선택 도구 등 다양한 선택 도구 제공
- 플러그인을 통한 새로운 파일 포맷과 효과 필터의 손쉬운 추가
Ubuntu를 비롯한 Debian 기반의 운영체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치할 수 있다.
sudo add-apt-repository ppa:otto-kesselgulasch/gimp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gimp
다른 방식으로 설치하고자 하거나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 중이라면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설치된 GIMP는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터미널에 gimp
를 입력하여 실행할 수 있는데,
터미널에서 실행할 경우 명렬줄 인수를 사용할 수 있다.
관심 있다면 홈페이지를 방문하거나 다음 명령어를 통해 확인하도록 하자.
$ gimp --help
GIMP를 사용하면서 언급하게 될 기본 개념과 용어에 대해 알아보자.
보다 자세한 설며은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용어 | 설명 |
---|---|
이미지 | TIFF, JPEG와 같은 파일; 혹은 그것이 열려 있는 창; 레이어, 선택 마스크, 채널, 경로 등 포함 |
레이어 | 여러 장 겹쳐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는 투명한 종이; 투명도 및 크기는 자유 |
해상도 | 이미지 픽셀 크기와 인쇄 시 실제 크기의 비율; 단위는 ppi ; 이미지 픽셀에는 영향 없음 |
채널 | 픽셀 색상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 중 하나; 일반적으로는 빨강, 초록, 파랑, 투명(알파)로 구성 |
선택 | 이미지의 특정 부분에만 영향을 줄 때 사용; 움직이는 점선으로 선택된 영역 구분 |
실행 취소하기 | 해당 작업 전으로 되돌리기; 이를 위해 각 작업의 내용을 메모리에 저장 |
플러그인 | 확장 기능을 가진 외부 프로그램 |
스크립트 | Script-Fu , Python , Perl 등으로 작성된 확장 스크립트 |
GIMP의 인터페이스는 다중창 모드와 단일창 모드가 존재한다.
GIMP를 처음 사용할 땐 단일창 모드로 열리는데,
창(W)
> Single-Window Mode
(혹은 (W)indows
> Single-Window Mode
) 를 해제함으로써
다중창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다중창 모드로 인터페이스를 띄워 놓으면 좌우 양쪽에 패널이 있고 가운데 이미지 창이 있는 걸 볼 수 있다.
좌측 패널에는 도구 상자, 도구 옵션 등이 존재하며,
우측 패널에는 레이어, 채널, 경로 등이 포함된 멀티 탭 독과 붓, 무늬, 폰트, 문서 이력 등이 등이 포함된 멀티 탭 독이 존재한다.
화면상에서 패널의 위치를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는 다중창 모드와 달리
단일창 모드에서는 패널이 양쪽에 고정되어 있으며,
TAB
버튼을 통해 이미지 창을 제외한 패널들을 숨기거나 보이게 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이미지를 띄워 놓으면 여러 개의 탭으로 열리는데,
Ctrl
+ PageUp
또는 Ctrl
+ PageDown
을 통해 다른 이미지 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실수로 패널 상의 어떤 대화 상자를 닫았다면
창(W)
> 최근 닫은 독
(혹은 (W)indows
> (R)ecently Closed Docks
) 를 통해
최근에 닫은 대화 상자를 다시 열 수 있다.
GIMP 사용자 설명서에서 설명에 사용한 이미지 창 화면은 현재 버전과 차이가 크므로
새로 스크린샷 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번호 | 이름 | 설명 |
---|---|---|
1 | 제목 표시줄 | 이미지 이름과 사양 표시; 이미지 수정 시 제목 앞에 * 표시 |
2 | 이미지 메뉴 | 제목 표시줄 바로 아래의 메뉴바; 이미지 우클릭으로도 열 수 있음 |
3 | 메뉴 버튼 | 이미지 메뉴를 열 수 있는 버튼; 전체 화면 시 유용. (Shift + F10 ) |
4 | 눈금자 | 이미지 내 좌표를 나타내는 데 사용; 기본 수치 단위는 픽셀; 드래그해서 안내선 설정 가능 |
5 | 퀵마스크 전환 | 그리기 도구를 통해 선택 영역을 지정하는 퀵마스크 모드를 켜고 끄는 버튼 |
6 | 커서 좌표 | 마우스 커서가 이미지 내에 있을 경우 현재 커서 좌표 표시 |
7 | 단위 메뉴 | 눈금자 등의 단위 설정; 기본 단위는 픽셀; inch, cm 등으로 변경 가능 |
8 | 확대/축소 버튼 | 화면 상에 보이는 이미지 크기를 원하는 비율값으로 확대/축소 |
9 | 상태 표시 영역 | 기본적으로는 레이어 이름과 메모리 사용량 표시; 도구 사용 시 특정 도구 설명 표시 |
10 | 취소 버튼 | 플러그인 등 복잡하고 시간이 걸리는 작업 수행 시 취소 버튼 표시; 작업 취소 기능 |
11 | 내비게이션 | 누르고 있으면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영역이 표시된 상자가 뜨며 마우스를 이동해 화면 이동 가능 |
12 | 여백 공간 | 어떠한 작업도 적용되지 않는, 이미지가 이미지 창보다 작을 경우 나타나는 공간 |
13 | 이미지 | 여백 공간과 구분짓는 노란 점선으로 둘러 쌓인, 실제적으로 이미지가 표시되는 공간 |
14 | 창 크기 변경 시 이미지 확대/축소 버튼 | 이미지 창 크기를 바꾸면 이미지 크기가 동일한 비율로 바꾸도록 설정하는 버튼 |
Ctrl
+ Shift
+ J
를 통해 이미지 크기를 이미지 창 크기에 맞게 채울 수 있다는 건 여담.
GIMP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개의 독이 존재한다.
GIMP의 독은 다중창 모드에서는 이미지 창과 분리된 창으로 표시된다.
창(W)
> 도킹 가능한 대화(D)
(혹은 (W)indows
> (D)ockable Dialogs
) 를 통해 원하는 대화 상자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대화 상자는 상단부를 끌어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탭 내에서 대화 상자의 위치를 바꾸거나 탭에서 꺼내고, 반대로 탭으로 집어 넣을 수 있다.
대화 상자를 독 옆에 끌고 가면 파란 선이 보이는데,
여기에 대화 상자를 내려 놓으면 독 옆에 대화 상자가 다중 열로 배치된다.
각각의 독에는 ◀
가 그려진 버튼이 있는데 이는 탭 설정
으로,
독의 탭과 관련된 동작을 할 수 있는 메뉴다.
대화 상자마다 다를 수 있지만 탭을 추가하거나 닫거나 떼어내는 등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탭 추가(A)
(혹은 (A)dd Tab
) 버튼 위에 있는 메뉴는 보조 메뉴
로, 대화 상자에 따라 차이가 있다.
그 아래 메뉴들은 모든 대화 상자의 공통 메뉴다.
공통 메뉴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탭 추가(A)
(혹은 (A)dd Tab
)탭 닫기(C)
(혹은 (C)lose Tab
)탭 떼어내기(D)
(혹은 (D)etach Tab
)독에 탭 잠그기(K)
(혹은 Loc(k) Tab to Dock
)미리 보기 크기(P)
(혹은 (P)review Size
)탭 스타일(T)
(혹은 (T)ab Style
)목록으로 보기(L)
/ 격자로 보기(G)
(혹은 View as (L)ist
/ View as (G)rid
)단추 막대 보이기(B)
(혹은 Show (B)utton Bar
)GIMP에는 실행 취소를 할 수 있는 작업과 그렇지 않은 작업이 있다.
실행 취소를 하고자 한다면 편집(E)
> 실행 취소(U)
(혹은 (E)dit
> (U)ndo
; 단축키 Ctrl
+ Z
) 를,
다시 실행하고자 한다면 편집(E)
> 다시 실행(R)
(혹은 (E)dit
> (R)edo
; 단축키 Ctrl
+ Y
) 를 사용한다.
실행 취소와 다시 실행은 특정 작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전후를 비교하는 과정에 사용되곤 한다.
이 작업은 대체로 빠르고 추가적인 리소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실행 취소 후 다시 실행이 아닌 다른 작업 수행 시 다시 실행을 할 수 없게 됨을 주의하자.
또한 파일을 닫았다가 다시 열면 실행 취소 이력이 사라진다는 점도 주의해야 한다.
이미지를 수정하는 대부분의 작업은 실행 취소를 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작업은 실행 취소를 할 수 없다.
이미지를 파일로 저장하거나 복사하는 것, 확대하는 것과 같은 작업이 이에 포함된다.
또한 이미지 닫기, 원래대로 만들기, 그리고 동작의 일부분은 실행 취소를 할 수 없다.
GIMP에서 "원래대로"란 해당 이미지를 파일로부터 다시 읽어들이는 작업이기에
실행 취소 내역이 모두 사라지게 된다.
복잡한 편집 과정을 요구하는 도구의 경우
그 각각의 하위 과정에 대해서는 실행 취소를 할 수 없고
오직 하나의 전체 과정에 대해서만 실행 취소를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플러그인이나 스크립트에 의해 실행된 작업이
GIMP의 실행 취소 기능과 충돌을 일으키거나
실행 취소 이력에 어떠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하자.
다음 시간에는 GIMP를 사용할 때 자주 하는 편집 작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