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엔진이 이해하기 쉽도록 홈페이지의 구조와 페이지를 개발해, 웹 페이지를 검색 결과 상위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입니다.
◼️ 웹사이트 내 모든 페이지에 동일한 디스크립션(description)을 적용할 경우 효과적이지 않음
◼️ 각 페이지의 내용을 전체적으로 요약해 서술한 내용을 넣는 것이 좋음
◼️ 해당 페이지의 제목(title)과 중복되는 정보는 제외하는 것이 좋음
◼️ 페이지가 많은 경우, 최대한 잘 읽히고 스팸으로 구분되지 않게 구성해야 함
◼️ 모든 페이지에 작성할 수 없다면, 우선순위를 두어 주요 페이지들에만 작성하는 것을 추천
<title>검색엔진 최적화 필수 메타태그</title>
<meta name="description" content="검색엔진 최적화를 위해 필수로 사용해야 할 메타태그"
/>
<meta name="keywords" content="메타태그, SEO, 검색엔진최적화" />
<meta name="author" content="작성자" />
<meta name="og:site_name" content="사이트 이름" />
<meta name="og:title" content="웹페이지의 제목" />
<meta name="og:description" content="검색엔진 최적화를 위해 필수로 사용해야 할 메타태그"/>
<meta name="og:type" content="website" />
<meta name="og:url" content="https://사이트주소.com" />
<meta name="og:image" content="썸네일이미지주소"/>
이미지 맵- <map> 태그와 <area> 태그를 이용해 한장의 사진에 여러 개의 링크를 넣는 것은 검색엔진이 링크를 따라 이동할 때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중요한 링크 설치는 피해야 합니다.
시리즈 및 연재 등과 같이 같은 주제를 가진 여러 페이지를 제작하게 될 경우, 해당 페이지를 검색엔진에게 잘 알리기 위해 전체보기 페이지를 만들어 제공합니다.
사용자가 꼭 홈페이지의 메인 페이지만 방문하는 것은 아닙니다.
검색엔진에서 키워드나 내용으로 검색하면, 검색 결과에는 원하는 정보가 있는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어떤 페이지로 방문이 유입될지 모르기 때문에 모든 페이지에 메인 페이지의 링크를 설치해 전체 사이트의 ‘동선’을 개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동일한 사이트라면 http로 서비스 하는 것보다, https로 서비스 할 경우 구글 검색엔진에서 전체 점수의 약 1% 정도에 해당하는 랭킹 가산점을 부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