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한후
OSI 7계층이란?
OSI 7계층으로 나눈 이유는?
MAC 주소란?
DNS란?
MAC 주소와 IP 주소의 차이는?
라우팅이란?
에 대해서 적어보자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이란, 통신이 일어난 과정을 7가지 과정으로 나타낸 것.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네트워크간 호환을 표준 네트워크 모델 OSI 7계층을 만들었다.
통신을 7가지 과정으로 정함으로써 과정을 단계별로 이해하기 쉬워졌고 특정한 부분에서 발생하는 이상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게되었다.
네트워크를 만들 때, 이것을 참조해서 만들어라
윗 계층이 동작하기 위해선 아래 계층들이 잘 작동해야 함
0,1의 나열을 아날로그 신호로 바꿔서 전송하고 이 아날로그 신호를 다시 0,1의 나열로 해석하는 역할을 물리 계층이합니다.
물리 계층으로 받아온 정보들이 안전하고 오류는 없는지를 확인하는 계층으로 직접 연결된 장치와의 통신만을 다룹니다.
직접 연결되지 않아도 여러 경로를 거쳐서 목적지로 갈 수 있도록 경로를 설정해주고(라우팅) 전달하는 계층
네트워크 계층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게 되었지만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전송 속도를 조절하거나, 오류를 처리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1 ~ 4 계층 까지는 데이터 전달이 중점이였다면, 5계층 부터는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컴퓨터 내의 프로세스들 간의 통신 프로토콜 이라고 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 간의 통신을 하기 위한 세션을 운영체제를 통해 확립, 유지, 중단 하는 작업 수행
즉, 응용 프로그램들 간의 접속을 설정, 유지 하고 끊어질 경우 재전송
세션을 이용해서 사용자들이 좀 더 편리해졌다...
7계층에서 넘겨받은 데이터를 Session Layer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경.
Session Layer에서 넘겨받은 데이터를 7계층이 이해할 수 있는 데이터 형태로 변경
그 데이터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암,복호화 진행
즉, 상위, 하위 계층에서 서로의 데이터 표현양식과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
ex) 해당 데이터가 text인지 그림인지 gif 인지 구분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층으로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연관되어서 일반 적인 응용 서비스 수행.
ex) 전송된는 메일, 사진 등이 크롬같은 응용프로그램을 통해서 사용자가 직접 확인하는 과정
이때, 각각의 데이터들은 해당되는 프로토콜에 의해 처리됩니다.
예시)
- HTTP : 이 프토토콜은 웹이나 브라우저 같은 응용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송수신 할때 사용
- FTP : 파일을 서로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데이터를 보낼때 7계층 -> 1계층 으로 이동하게됩니다.
이때, 각각의 계층을 지나면서 캡슐화를 진행하게 됩니다. 각각의 계층을 지날때 데이터에 추가적인 정보들을 (Header, Footer)추가해주면서 전달됩니다.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로서, OSI의 정보처리 단위입니다.
아래 계층으로 갈수록 PDU에는 다양한 프로토콜에 의해 Header, Footer가 더해집니다.
반대로, 정보를 받아서 7계층으로 올라갈때에는 Header,Footer를 분서갛며 올라합니다(디캡슐화)
ex) 2계층의 PDU = 프레임...
계층 | 역할 | 예시 (택배) |
---|---|---|
7. 응용 계층 | 사용자와 직접 만남 | 택배 주문서 작성 |
6. 표현 계층 | 형식/암호화 변환 | 한글 주소 → 영어로 변환 |
5. 세션 계층 | 연결/유지/끊기 관리 | 고객-택배 회사 전화 연결, 끊김 없이 대화 |
4. 전송 계층 | 안전하고 순서대로 전달 | 택배 박스를 깨지지 않게 포장하고 넘버링 |
3. 네트워크 계층 | 목적지 경로 설정 | 어디(주소)로 보낼지 결정 (최적 경로 설정) |
2. 데이터 링크 계층 | 물리적 연결, 오류 검사 | 물류센터끼리 박스 전달, 손상 여부 확인 |
1. 물리 계층 | 전기 신호로 전달 | 트럭, 도로를 통해 실제 운반 |
👉 "1~4계층은 전달을 담당하고, 5~7계층은 대화를 관리한다!" 🚀
이메일을 보내는 과정으로 예시를 적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