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ME 이란?

Workwork·2022년 9월 16일
0

SpringBootWeb

목록 보기
2/2

내가 어떤 사진을 전송한다고 해보자

               post 요청 

클라이언트 ---------------------------- 서버
헤더 : Image, Jpeg (데이터에 대한 설명)
바디 : Data (데이터 그 자체)

http 통신

A --------------- B
A가 B에게 '가, 나, 다, 라'를 전송한다고 했을 때..

  1. 패킷 스위칭
    패킷스위칭은 데이터를 패킷이라는 단위로 쪼개서 전송하는 방식이다.
    패킷은 다음 링크로 전송하기 전에 저장을 한뒤 전달하는 store and forward 방식을 따른다.
    패킷의 헤더에는 출발지와 목적지정보가 있다.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경로를 설정하고, 중간의 라우터들을 거쳐 최종 목적지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패킷은 다음 라우터로 이동하기 위해 큐에서 대기하는데 이때 수용할 수 있는 큐의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 가 나 다 라 를 각각 패킷으로 만든다.

하나의 회선을 통해 패킷들을 마구잡이로 보내면, 어디서부터 어떤 순서를 가지고 얘네가 왔는지 알 수 없을 것이다.
이 때 그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이 헤더!!!

근데 이제 헤더에 이런 정보들을 적어 보낼 때 규칙? 타입?이 정해져있음. 이것들이 MIME 타입.
text/plain
text/http
대충 이런.. 자세한 건 아래를 참조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TP/Basics_of_HTTP/MIME_types/Common_types

  1. 서킷 스위칭
    A ------- B 통신할 때 통신할 데이터를 한 번에 실어서 B에게 전송.
    C ------- B 통신할 때도 마찬가지..
    즉 물리적 선을 계속 추가해야함. 한 번에 실어가서 빠르지만, 비용 많이 듦.

서킷스위칭은 하나의 회선을 할당받아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이다.
먼저 통신을 위한 연결을 해야하며 연결이 되고 나면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도착하는데 사용되는 회전 전체를 독점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끼어들 수 없다.
서킷스위칭은 전화와 같은 실시간 통신에 사용된다. 따라서 속도와 성능이 일정하다.

--> 가나다라 한 번에 전송

profile
나만 알아보면 된다는 마음으로 작더라도 조금씩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