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tato.log
로그인
potato.log
로그인
5장. 형식 맞추기
공부하는 감자
·
2024년 2월 8일
팔로우
0
클린코드
0
클린코드
목록 보기
5/18
이 글에서 분류한 기준은 책의 내용을 바탕으로 주관적인 견해로 재정리해본 것입니다.
형식을 맞추는 목적
코드 형식은 의사소통의 일환이다.
맨 처음 잡아 놓은 구현 스타일과 가독성 수준은 유지보수 용이성과 확장성에 계속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코드 형식을 맞추기 위한 간단한 규칙을 정하고 그 규칙을 따라야 한다.
코드 형식
적절한 행의 길이를 유지
자바에서 파일 크기는 클래스 크기와 밀접하다.
클래스 크기는 클래스를 논하는 장에서 다루고, 이 장에서는 파일 크기를 고려한다.
약 200줄 정도인 파일로도 커다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큰 파일보다 작은 파일이 이해하기 쉽다.
소스 파일의 구성
소스 파일 명은 간단하면서 설명이 가능하게 짓는다.
이름만 보고도 올바른 모듈을 살펴보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소스 파일 첫 부분은 고차원 개념과 알고리즘을 설명한다.
아래로 내려갈수록 의도를 세세하게 묘사한다.
마지막에는 가장 저차원 함수와 세부 내역이 나온다.
코드 형식: 세로
세로 밀집도
개념은 빈 행(줄바꿈)으로 분리한다.
각 행은 수식이나 절을 나타내고, 일련의 행 묶음은 완결된 생각 하나를 표현한다.
따라서, 생각(개념) 사이는 빈 행을 넣어 분리해야 한다.
서로 밀접한 코드 행은 세로로 가까이 놓여야 한다.
세로 밀집도는 연관성을 의미한다.
ex) 변수를 상단에 함께 둔다.
서로 밀접한 개념은 세로로 가까이 둬야 한다.
서로 밀접한 개념은 한 파일에 속해야 하고, 세로 거리로 연관성을 표현한다.
연관성이란 한 개념을 이해하는 데 다른 개념이 중요한 정도다.
변수
변수는 사용하는 위치에 최대한 가까이 선언한다.
지역 변수는 각 함수 맨 처음에 선언
루프를 제어하는 변수는 루프 문 내부에 선언
인스턴스 변수는 클래스 맨 처음에 선언
함수
한 함수가 다른 함수를 호출한다면 두 함수는 세로로 가까이 배치한다.
일반적으로 함수 호출 종속성은 아래 방향으로 유지한다.
호출하는 함수는 호출되는 함수보다 먼저 배치한다.
개념적으로 유사성(친화도)가 높으면 가까이 배치한다.
ex) 한 함수가 다른 함수를 호출해 생기는 직접적인 종속성
ex) 비슷한 동작을 수행하는 일군의 함수
코드 형식: 가로
가로 길이
짧은 행이 바람직하다.
책의 저자는 120자 정도로 행 길이를 제한했다.
가로 공백과 밀집도
가로는 공백을 사용해 밀접한 개념과 느슨한 개념을 표현한다.
ex) 할당 연산자를 강조하기 위해 앞뒤에 공백을 주는 경우
ex) 연산자 우선순위를 강조하기 위해 공백을 주는 경우
가로 정렬
가로 정렬은 사용하지 말자.
코드가 엉뚱한 부분을 강조해 진짜 의도가 가려진다.
ex) 공백을 주어 선언문과 할당문을 별도로 정렬하는 경우
정렬이 필요할 정도로 목록이 길다면 문제는 목록의 길이이다.
선언부가 길다면 클래스를 쪼개야 한다는 의미이다.
들여쓰기
소스 파일은 윤곽도(outline)와 계층이 비슷하다.
파일 전체에 적용되는 정보가 있고
파일 내 개별 클래스에 적용되는 정보가 있고
클래스 내 각 메서드에 적용되는 정보가 있고
블록 내 블록에 재귀적으로 적용되는 정보가 있다.
계측에서 각 수준은 이름을 선언하는 범위이자 선언문과 실행문을 해석하는 범위다.
범위(scope)로 이뤄진 계층을 표현하기 위해 코드를 들여쓴다.
들여쓰는 정도는 계층에서 코드가 자리잡은 수준에 비례한다.
클래스 정의처럼 파일 수준은 문장은 들여쓰지 않는다.
클래스 내 메서드는 클래스보다 한 수준 들여쓴다.
메서드 코드는 메서드 선언보다 한 수준 들여쓴다.
블록 코드는 블록을 포함하는 코드보다 한 수준 들여쓴다.
간단한 if 문, 짧은 while 문 등 짧은 함수에서 들여쓰기 규칙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
빈 while문이나 for문은 새 행에 들여쓰기 하여 세미콜론(;)을 넣어준다.
팀 규칙
팀은 한 가지 규칙에 합의해야 한다.
모든 팀원은 팀 규칙을 따라야 한다.
소프트웨어가 일관적인 스타일을 보인다.
Reference
참고 서적
📔
Clean Code
공부하는 감자
책을 읽거나 강의를 들으며 공부한 내용을 정리합니다. 가끔 개발하는데 있었던 이슈도 올립니다.
팔로우
이전 포스트
4장. 주석
다음 포스트
6장. 객체와 자료구조
0개의 댓글
댓글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