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BASE meta

오예찬·2023년 10월 2일
0

Project: BASE

목록 보기
1/2
post-thumbnail

이번 학기 동안은 코딩 테스트 준비와 더불어 개인프로젝트를 진행해 보려고 한다.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잠시 "project"라는 단어의 뜻에 대해 알아보자.

PROJECT

  • a piece of planned work or an activity that is finished over a period of time and intended to achieve a particular purpose
  • a study of a particular subject done over a period of time, especially by students

프로젝트의 첫번째 뜻을 살펴보면 프로젝트는 특정기간의 걸쳐서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는 활동으로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프로젝트가 성립할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은 기한과 목적이다. 또한 프로젝트의 성패 여부를 판가름 하기 위해서 조건을 정량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순히 스프링과 자바를 공부하는 것은 학습은 될 수 있을지 언정 '프로젝트'는 될 수 없다. 게시판을 그냥 한 번 만들어보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단순히 게시판을 만들기만 하고 코드와 원리에 대한 통찰이 없다면 그건 경험이 아닌 체험이다. 따라서 게시판을 만드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데 있어 '왜'라는 질문과 기록은 필수이다.

프로젝트 정의

코딩 열풍이 불고 IT기업 취직을 위한 로드맵이 정형화되면서 프로젝트가 본연의 의미를 잃어가고 있다. 프로젝트는 그 자체로서는 목적이 되지 못한다. 어떤 목적을 이뤄가는 일련의 과정을 프로젝트라고 부를 뿐, 진짜 중요한 것은 프로젝트를 통해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그래서 프로젝트는 목적과 기한을 반드시 정해놓아야 한다. BASE 프로젝트는 목적과 기한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PROJECT BASE

  • 목적: 자바와 스프링을 사용해 게시판 구현 및 개발 프로세스 이해
  • 기한: 2024년 2월 28일

가장 중요한 프로젝트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자바와 스프링을 이용해 게시판을 구현할 수 있어야 하고, 웹 개발에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이해해야 한다. 여기서 "구현"와 "이해"라는 단어를 구체화하면 구현은 코드를 직접 입력하여 실제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고 "이해"한다는 것은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이 가능한 수준이어야 한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알아야 하는 개념과 몰라도 되는 개념의 기준은 설명에 필요한가 아닌가이다. 남에게 설명을 할 때 내가 알아야 하는 개념이라면 알아야 하는 개념이고, 몰라도 된다면 굳이 학습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이해하기 위해선 전체적인 아키텍처를 그릴 필요가 있다. 어떤 개념이 다른 개념과 어떻게 이어지고 그 개념이 왜 필요한지, 정말 필요한지 구조를 그려낼 줄 알아야 한다. 세세한 개념을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작은 개념들을 이어 큰 그림을 그릴 줄 알아야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이해할 수 있다.

포스팅 방법

본 프로젝트의 포스팅 방법은 순서대로 번호를 매기는 개념이 아닌 주제를 중심으로 포스팅을 진행한다. 게시판을 만들며 학습해야 하는 개념이 나오면 그때마다 포스팅을 하고 끝날 때까지 업데이트를 반복한다.

profile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