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코드를 치면 깃 오류가 뜬다. 해당 오류는 error 'displayValue' is defined but never used 이다. 즉, import는 했는데 사용 안해서 git에 안 올라감. 그래서 이것을 정리해주면 깃이 잘 올라간다.
1 폰트 셋팅 구글 폰트에서 활용2 레이아웃 세팅모든 페이지에 반영되는 레이아웃 셋팅3 이미지 에셋 세팅감정 이미지들을 프로젝트에서 불러와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셋팅4 공통 컴포넌트 세팅모든 페이지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버튼, 헤더 컴포넌트 세팅
Path Variable - useParamshttp://localhost:3000/diary/1 처럼 뒤에 번호가 붙는 것은 useParams를 이용한다.Query String - useSearchParams페이지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Page
설치 코드아래 코드를 입력하면 원하는 경로에 원하는 페이지가 맞춰짐.혹시 페이지 이동해도 바뀌지 않았으면 하는 애들은 Routes 밖에 나오면 됨.app.js에 쓰는 코드페이지에서 페이지로 이동하려면 Link를 쓴다.
화면이 로딩 될 때 getData를 불러오면서 await fetch,async를 통해 api를 가져올 수 있다. console.log(res)하면 결과를 볼 수 있다. 해당 api는 가져오는 값이 500개여서 res.slice를 통해 20개로 자르고 map을 통해 원하
toggleIsEdit은 수정하기의 onClick이다. toggleIsEdit은 isEdit을 토글처럼 반전시키는 코드다. 토글을 이용하면 {isEdit~} 처럼 false일때랑 true일때 보여주는 모습을 다르게 할 수 있다.
data의 map이라는 내장 함수를 사용해서 바꾸려는 댓글 아이디값이 일치하면 콘텐트만 뉴 콘텐츠로 수정하고 댓글 아이디값이 일치 안하면 기존 데이터를 뿌린다. 위 코드를 app에서 만들고 props로 아래 코드까지 전달한다.handleEdit에 onEdit 코드를 넣
위에서 setIsEdit(false)의 역할은 수정을 안하고 원래 콘텐츠를 보여주는 코드. setLocalContent(content)에서 setLocalContent는 수정한 댓글을 담을 그릇인데 거기에 content(수정하기 전 원래 댓글 텍스트)를 다시 담는 것.
data.filter로 it을 하나씩 돌리면서 it의 id가 targetId와 일치하지 않으면 필터링 해서 일치하는 애들만 newDiaryList에 담으라는 코드.리스트에서 제거하고 싶은 애를 제거하고 새 리스트를 짤 때 쓰는 코드.
리액트는 단방향으로만 데이터가 흐른다. 그래서 자식 <-> 자식 이렇게 데이터가 흐를 수 없다. 자식 => 부모 => 자식으로만 데이터가 흐른다. 그래서 자식 간 데이터를 주고 받으려면 자식에서 부모로 데이터를 주고 부모가 props로 자식에 데이터를 주면 된다.
위 코드처럼 map 안에 스프레드 연산자로 it의 정보를 props로 넘겨줄 수 있다. 그런데 혹시 DiaryItem에서 값이 안 찍힌다면? {...it} 앞 뒤 띄어쓰기를 꼭 해줘야 한다. 띄어쓰기가 한쪽이라도 없을 시 값이 undefined로 뜬다.
useRef => 리액트에서 돔을 선택하는 기능1 useRef(); import하고 const 함수명을 넣어 선언해준다.2 선택할 돔에 ref={}으로 이름을 준다3 선택할 돔에 명령할 코드를 입력한다. 이번 코드에서는 handleSubmit 함수를 만들어서 state
리액트에서 input에 usestate를 적용하는 코드.내가 input에 입력하는 값을 state에 저장하는 코드.e.target.value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 그 당시의 value값을 이벤트 객체에서 잡아오는 코드. 그것을 setAuthor에 넣어주면 author에
main 브랜치 최신화feature 브랜치 따기1) git 위치는 main이어야 함 (git branch로 확인)2) main에서 feature 브랜치 만들기예) 티켓이 JOIN-10이면, 브랜치가 feature/JOIN-10개발하기커밋하기git add 파일git co
1) 지금 현재 내 위치가 어디인지 확인하기2) 메인인지, 브랜치인지 확인하기. 작업중이라면 브랜치여야 함.3) 작업한 파일을 저장하면 소스제어에 파일이 추가 된다. 이때 플러스 버튼을 클릭하여 변경된 파일을 스테이징에 올린다. 파일은 스테이징에 올려야 커밋을 할 수
별점 : ⭐⭐⭐⭐출판연도 : 2019년추천자 : 컴퓨터 전공에 관심이 있는 중,고등학생 / 비전공 개발자줄거리 : 쉬운 글로 풀어진 컴퓨터 입문서HTTP: 웹서비스를 제공하고 제공받기 위한 약속. 인터넷 공간에서도 여러 컴퓨터가 사회를 이루기 때문에 규칙과 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