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

ORCASUIT·2023년 11월 6일
0

OS 관점의 가상화는 운영 체제 위에서 다른 운영 체제를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기술입니다. 기본적으로 물리적인 하드웨어 리소스를 추상화하고, 이러한 추상화된 리소스를 활용해 여러 가상 머신(VM)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게 합니다. 가상 머신들은 독립된 환경을 가지며, 각각의 운영 체제(OS)를 호스팅할 수 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단일 물리적 서버에서 여러 운영 체제를 구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서버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가상화는 보통 하이퍼바이저라고 불리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됩니다. 하이퍼바이저는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1. Type 1 (베어 메탈): 하이퍼바이저가 직접 하드웨어에 설치되며, 모든 가상 머신을 직접 관리합니다. VMware ESXi, Microsoft Hyper-V, Xen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2. Type 2 (호스트 기반): 하이퍼바이저가 기존의 운영 체제 위에서 실행되며, 이 운영 체제가 하드웨어 리소스를 관리합니다. Oracle VirtualBox, VMware Workstation, Parallels Desktop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EC2(Elastic Compute Cloud) 서버에서 우분투 가상 환경을 운영하는 것과 로컬 컴퓨터에서 우분투 가상화 환경을 만드는 것은 기본적인 가상화 원리는 동일하지만, 실행 환경과 사용 사례에 따라 여러 차이점이 있습니다.

EC2 서버에서의 가상화:

  • 클라우드 기반: EC2는 AWS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활용하여 서버 인스턴스를 제공합니다. 이는 Amazon의 데이터 센터에 위치한 물리적 서버를 기반으로 합니다.
  • 타입 1 하이퍼바이저 사용: AWS는 Xen과 Nitro(자체 개발) 같은 베어 메탈 하이퍼바이저를 사용합니다.
  • 확장성과 유연성: EC2 인스턴스는 요구에 따라 쉽게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으며, 전 세계 여러 리전에 걸쳐 배포할 수 있습니다.
  • 관리된 서비스: AWS는 네트워킹, 보안, 스토리지 등의 관리를 포함하여 백업, 모니터링, 유지 관리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로컬 컴퓨터에서의 가상화:

  • 개인 하드웨어: 사용자의 개인 또는 조직 내 물리적 컴퓨터를 사용합니다.

  • 타입 2 하이퍼바이저 주로 사용: 일반적으로 VirtualBox나 VMware Workstation과 같은 타입 2 하이퍼바이저를 사용하여 가상화 환경을 구축합니다.

  • 하드웨어 리소스 제한: 로컬 컴퓨터의 하드웨어에 의해 성능과 확장성이 제한됩니다.

  • 직접 관리: 네트워킹, 보안 설정, 백업 정책 등을 사용자가 직접

    관리해야 합니다.

차이점:

  • 성능: EC2는 다양한 성능 구성 옵션을 제공하여 사용 사례에 맞게 인스턴스 유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반면 로컬 환경은 물리적 하드웨어에 의존합니다.
  • 비용: EC2는 사용한 컴퓨팅 자원에 따라 비용을 지불하는 모델을 사용합니다. 로컬 컴퓨터는 초기 투자 비용이 들지만, 장기적으로는 추가 비용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접근성: EC2 인스턴스는 인터넷을 통해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지만, 로컬 가상화 환경은 네트워크 설정에 따라 외부 접근성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유지 관리와 관리 부담: EC2 인스턴스는 AWS에 의해 유지 관리되는 반면, 로컬 가상화 환경은 사용자가 모든 유지 관리 작업을 직접 수행해야 합니다.

이러한 차이점들을 이해하는 것은 클라우드 서비스와 로컬 서비스의 선택에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