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 레지스터 확인 가능v.v %all : 태스크 디스크립터를 볼 수 있음v.v : 전역변수를 볼 수 있는 명령어%all : arg 지정 가능주소를 (구조체) 내부의 캐스팅 결과를 출력프로세스의 태스크 디스크립터 정체 확인 가능v.f
log -m : 커널 로그 출력runq-m : 런큐에서 실행중인 현재 프로세스 목록 / 태스크 디스크립터 확인 가능==> bash에서 크래쉬 발생CPU 2: 0 00:00:00.000 PID: 1591 TASK: ffffff805d66dac0 COMMAND: "
소스 그 자체 보다는 소스의 변화를 분석하자 전처리 파일을 활용하자 디버깅 툴과 함께 소스를 분석하자 ftrace message를 자주 활용하자 상용 드라이버 코드를 분석하자: e.g: Qualcomm kernel BSP code embetronicx.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