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커 명령어 CLI 익히기

KIMA·2022년 7월 12일
1

docker

목록 보기
2/2

이미지

이미지 다운로드

  1. 원격 저장소 docker hub에서 필요한 이미지를 찾는다.
  2. 원격 저장소로부터 로컬 머신으로 이미지를 다운한다. : docker pull IMAGE_NAME[:TAG]
  • TAG : 이미지 태그, 기본값은 latest

다운받은 모든 이미지 조회

docker image ls 또는 docker images

  • ls : list의 약자
  • REPOSITORY : 이미지 이름(이미지명)
  • TAG : 이미지 태그명
  • IMAGE ID : 이미지 ID
  • CREATED : 이미지가 생성된 날짜 (다운받은 날짜 X)
  • SIZE : 이미지 크기

이미지 삭제

docker image rm [OPTIONS] IMAGE_ID/IMAGE_NAME

  • IMAGE_ID : ID의 일부만 입력해도된다.
  • 컨테이너에서 사용하고 있지 않은 이미지만 삭제할 수 있다.
  • OPTIONS
    * -f : 중지된 컨테이너에서 사용하고 있는 이미지를 강제로 삭제한다.

컨테이너

이미지를 바탕으로 컨테이너 생성

docker create IMAGE_NAME[:TAG]

  • 컨테이너를 실행하지 않고 생성만 하는 경우가 잘 없어서, 이 명령어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 로컬 환경에 다운받은 이미지가 없다면, Dockerhub로부터 이미지를 다운받아 컨테이너를 생성한다.

이미지를 바탕으로 컨테이너 생성 및 실행

docker run IMAGE

  • OPTIONS
    • --name=CONTAINER_NAME
    • --restart on-failure
  • 로컬 환경에 다운받은 이미지가 없다면, Dockerhub로부터 이미지를 다운받아 컨테이너를 생성한다.

정지중인 컨테이너 실행

docker start 컨테이너명

실행중인 컨테이너 조회

docker ps [OPTIONS]

  • OPTIONS
    • -a : 실행중이지 않는 컨테이너도 함께 조회한다.

실행중인 container shell에서 명령어 실행

docker exec -it [container nickname] [command]

Reference

profile
안녕하세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