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자 패턴은 확장자 형태로 서버의 해당 컴포넌트를 찾아서 실행하는 구조입니다.
ex)http://localhost:8181/cr/Hello.do --> do.서블릿
http://localhost:8181/cr/World.do --> do.서블릿
kr.co.ict.Srvlet에서 CommendPatternServlet을 만들어 줍니다. url은 *.test로 만들어 주고 doget,dopost 체크하고 생성해줍니다.
doget지역에다가
system.out.println로 확인을 해보겠습니다.
.test 패턴으로 접속이 감지되는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여기.test
*.test 앞에 뭐가 와도 감지되는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test 앞에 들어오는 문자가 뭔지 감지해야 사용자의 요청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uri라는 변수를 만들어줌
uri라는 변수에다가 어떠한 주소로접속 했는지 받아주고, equals를 이용해 어떤한 주소로 접속했는지, uri에 변수에 어떤 값이 들어온지 알 수 있습니다.
boardlist.test 접속시 boardlist로 리다이렉트
login.test 접속시 loginform. 으로 리다이렉트
main.test 접속시그냥 메인으로 리다이렉트
만들어 보겠습니다.
if(uri.equals("/MyFirstWeb/main.test")) {
else if(uri.equals("/MyFirstWeb/board.test")) {
-만약 다른 주소 /MyFirstWeb/board.test로 접속시
response.sendRedirect("http://localhost:8181/MyFirstWeb/boardList");
-response.sendRedirectfmf 를 이용해
"http://localhost:8181/MyFirstWeb/boardList" 여기로 접속 시키겠다.
}else if(uri.equals("/MyFirstWeb/login.test")) {
}else {
위에 나온 주소가 아니면
response.sendRedirect("http://localhost:8181/MyFirstWe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