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글은 <그림으로 배우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
이더넷(Ethernet)
데이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프레임(frame)
이더넷의 프레임 형식
TCP/IP에서 다루는 프레임은 대부분 이더넷 II 구격을 사용한다.
페이로드
MTU(Maximum Transmission Unit)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정의하는 페이로드 크기의 최댓값프리앰블
목적지/출발지 MAC 주소
타입
FCS(Frame Check Sum)
MAC 주소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 IP
IP의 세 가지 역할
Hop-by-Hop
: 다음 목적지까지만 파악해 라우팅하는 방식패킷(packet)
IP 패킷의 형식
버전
헤더 길이
ToS(Type of Service)
패킷 길이
식별자
플래그
프래그먼트 오프셋
TTL(Time To Live)
프로토콜
헤더 체크섬
출발지/목적지 IP 주소
옵션
패딩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로 구분한다.서브넷 마스크
IP 주소는 역할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클래스에 의한 분류
클래스 A~E까지 총 5개로 분류한다.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프라이빗 주소와 글로벌 주소
네트워크상에서 IP 주소를 사용하는 장소를 기준으로 한다.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능예약된 주소
특수한 용도를 가진 주소는 장치에 설정할 수 없다.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멀티캐스트(multicast)
IPv4 주소 고갈 문제로 등장!
IPv6의 특징
IPv6의 패킷 형식
버전
트래픽 클래스
플로우 레이블
페이로드 길이
넥스트 헤더
홉 제한
출발지/목적지 IPv6 주소
IPv6의 주소
IPv6의 주소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