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처음 배운내용 (기초 용어)

skj1211·2022년 4월 8일
0

작업영역 working directory
준비영역 staging area
저장소 repository

git 용어, 명령어

git version
git --glover user.name "이름"
git --glover email "이메일"
git --list
git init 저장소 만들기

git add 파일이름 : 작업영역에서 준비영역으로 보낸다.
git reset 파일이름 : 준비영역의 파일을 지운다.
git commit : 준비영역에서 저장소로 보낸다.
git commit --amend -m "수정할 메시지" : 커밋 내용을 수정할 때 사용
git status : 준비영역에 있는 파일을 확인
git log : 저장소에 존재하는 history 확인
git diff : commit의 수정 결과를 보여준다.
git log --stat : 어떤 파일이 commit에서 수정되고 변경 되는지 확인
git log --graph : commit간의 연결 관계를 아스키 그래프로 출력


git Branch
독립적으로 작업을 진행 하기위한 개념
메인 브랜치 : 배포할 수 있는 수준의 안정적인 브랜치
토픽 브랜치 : 기능 수정, 추가 / 버그 수정 등 작은 단위 작업을 위한 브랜치
git branch : 현재 브랜치 확인
git branch 이름 : 브랜치 생성
git checkout 이름 : 원하는 브랜치로 해드 전환
git checkout hash값(16진수) : 과거의 파일 내용으로 해드 이동
git branch -d 이름 : 브랜치 삭제

Merge 갈라져 있는 브런치들을 병합
git merge 이름 : 해드로 있는 브런치에 병합해준다.
git branch --merged : merge 된 브랜치를 보여준다.


git 저장소
git clone 주소 : 원격저장소를 받아온다
git remote : 연결된 원격저장소를 확인
git remote add origin 주소 : 원격저장소를 로컬저장소와 연결

git fetch : 원격저장소의 내용을 가져온다.
git merge origin/master : git fetch 를 한경우 사용, 병합을 완료해준다.

git pull origin master: 위의 fetch 와 merge가 합쳐진 동작 으로 받으려는 원격 저장소 이름과 브랜치의 이름을 넣는다.

git push origin master : master의 작업 내용을 origin(원격저장소)으로 push 한다.

origin 원격 저장소의 단축 이름
git remote add origin : remote 를 origin 이라는 이름으로 해주는 의미로
git remote add myproject 으로하면 myproject이 단축 이름이다.
원격저장소의 이름 default 값은 origin 으로 통일된다.

요약
git remote add origin 주소
git fetch
git merge origin/master
git push origin master

git remote add origin 주소
git pull origin master
git push origin master

추가 공부

git reset --hard "커밋id"

커밋시점으로 되돌아간다 삭제된 파일도 복구됨
git pull 명령어로 실수로 삭제되었을 때 사용
git log 로 커밋 로그를 확인하고 돌아가고 싶은 커밋 id를 찾는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