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포스트는 도서 '이재환의 자바 프로그래밍 입문'을 기반으로 함을 알립니다.
구분 | 자료형 이름 | 크기 | 자바에서 값의 범위 |
---|---|---|---|
정수형 | byte | 1 Byte | -128 ~ 127 |
short | 2 Byte | -32,768 ~ 32,767 | |
int | 4 Byte | … | |
long | 8 Byte | ||
실수형 | float | 4 Byte | |
double | 8 Byte | ||
문자형 | char | 2 Byte | Unicode |
논리형 | boolean | 1 Byte | true, false |
ex
long 자료형에 1을 저장하는 것이 낭비가 아닐 수 있다. 변수를 선언할 때는 1을 대입했지만 나중에 큰 값을 다시 대입할 수도 있으므로!tip!
프로그래밍에서 자료형을 정할 때는 ‘메모리에서 데이터 저장의 효율성’을 따져야 한다.✍🏻 인코딩과 디코딩
이처럼 문자 ‘A’를 문자 코드표를 보고 이진수 0000 0000 0100 0001로 바꾸는 것을 인코딩이라고 한다. 반대로, 이진수 0000 0000 0100 0001을 문자 코드표를 보고 문자 ‘A’로 바꾸는 것을 디코딩이라고 한다.
실수는 고정 소수점 방식과 부동 소수점 방식의 두 가지로 표현할 수 있다.
부호(1) + 정수부(15) + 소수부(16) = 32bit 로 실수를 나타낸다.
float형의 경우 부호(1) + 지수(8) + 가수(23) = 32bit 로 실수를 나타내고,
double형의 경우 부호(1) + 지수(11) + 가수(52) = 32bit 로 실수를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