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근이는 나무 M미터가 필요하다. 근처에 나무를 구입할 곳이 모두 망해버렸기 때문에, 정부에 벌목 허가를 요청했다. 정부는 상근이네 집 근처의 나무 한 줄에 대한 벌목 허가를 내주었고, 상근이는 새로 구입한 목재절단기를 이용해서 나무를 구할것이다.
목재절단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상근이는 절단기에 높이 H를 지정해야 한다. 높이를 지정하면 톱날이 땅으로부터 H미터 위로 올라간다. 그 다음, 한 줄에 연속해있는 나무를 모두 절단해버린다. 따라서, 높이가 H보다 큰 나무는 H 위의 부분이 잘릴 것이고, 낮은 나무는 잘리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한 줄에 연속해있는 나무의 높이가 20, 15, 10, 17이라고 하자. 상근이가 높이를 15로 지정했다면, 나무를 자른 뒤의 높이는 15, 15, 10, 15가 될 것이고, 상근이는 길이가 5인 나무와 2인 나무를 들고 집에 갈 것이다. (총 7미터를 집에 들고 간다)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는 양의 정수 또는 0이다.
상근이는 환경에 매우 관심이 많기 때문에, 나무를 필요한 만큼만 집으로 가져가려고 한다. 이때, 적어도 M미터의 나무를 집에 가져가기 위해서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첫째 줄에 나무의 수 N과 상근이가 집으로 가져가려고 하는 나무의 길이 M이 주어진다. (1 ≤ N ≤ 1,000,000, 1 ≤ M ≤ 2,000,000,000)
둘째 줄에는 나무의 높이가 주어진다. 나무의 높이의 합은 항상 M보다 크거나 같기 때문에, 상근이는 집에 필요한 나무를 항상 가져갈 수 있다. 높이는 1,000,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 또는 0이다.
적어도 M미터의 나무를 집에 가져가기 위해서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의 최댓값을 출력한다.
4 7
20 15 10 17
15
5 20
4 42 40 26 46
36
n,m=map(int,input().split())
tree=list(map(int,input().split()))
left=0
right=max(tree)
answer=0
while left<=right:
ans=0
mid=(left+right)//2
for t in tree:
if t>=mid:
ans+=t-mid
# 이 부분을 넣기 전에는 시간초과가 발생했다.
if ans>m:
break
if ans<m:
right=mid-1
else:
left=mid+1
answer=mid
print(answer)
나무를 모두 자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0부터 나무의 최대값까지의 범위를 두고 m값과 같거나 조금 큰 경우의 값을 구해야한다.
나무 길이를 잘랐을 때 반드시 m 값과 같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나무 높이에서 mid를 뺀 값이 상근이가 가져갈 수 있는 나무의 길이이기 때문에 그 값이 상근이가 원하는 m값과 같은지 작은지 비교하면서 이분탐색을 진행한다.
나무 높이에서 mid를 뺀 값이 m값보다 클수는 있지만 작으면 안된다.
m보다 짧은 길이의 나무를 가져갈 수는 없으니 if문에서 m값과 같거나 큰 경우를 함께 묶어준다.
위 코드 주석에도 적혀있듯이 mid를 기준으로 잘랐을 때 상근이가 가져갈 수 있는 나무 길이가 m 길이보다 큰 경우에
중간에 break 해주지 않으면 시간초과가 발생했다.
어차피 m 길이보다 크면 그보다 작은 값을 탐색해야 하기 때문에 이후의 계산은 필요가 없고, 시간만 낭비하기 때문이다.
처음엔 이 사실을 생각하지 못하고 그냥 이분탐색 코드를 짜서 무조건
m값과 같은 경우에만break하고 값을 출력하도록 했는데 답이 틀려서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조금 더 생각하면서 문제를 푸는게 좋을 것 같다.
N, M = map(int, input().split())
tree = list(map(int, input().split()))
start, end = 1, max(tree)
while start <= end:
mid = (start+end) // 2
log = 0
for i in tree:
if i >= mid:
log += i - mid
if log >= M:
start = mid + 1
else:
end = mid - 1
print(end)
시간초과가 발생했던 코드랑 똑같아서 무슨 차이인지 찾아봤다.
위 코드는 python으로 돌린것이 아니라 Pypy3로 돌린 코드이다.
Pypy3는 처음 들어봐서 찾아봤더니 JIT 라는 컴파일러를 이용하여 python보다 빠르게 돌아가도록 개선한 언어라고 한다. 대신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는 단점도 있다.
python이 유리하고pypy3가 유리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