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L 기본문법정리

박재훈·2023년 2월 10일
0

SQL

목록 보기
1/1

SELECT

가져오고자 하는것을 입력하고 FROM은 테이블을 선택하는것이다.
tracks라는 테이블을 불러올때 뒤에 t를 적게되면 tracks를 t로 저장해서 불러오겠다는 뜻이다.
SELECT DISTINCT A FROM TABLE 하면 중복되는 값을 제외할 수 있다.

ORDER BY

정렬 조건을 설정할때 사용하고, 기본정렬은 오름차순이다. 만약 내림 차순을 하고자 한다면 특성뒤에 DESC를 넣어주면된다.(DESC = descending) 또 여러개의 조건을 쓰려면 그냥 ,로 구분하면 됨.

GROUP BY

SELECT job
     , SUM(sal) AS sum_sal
  FROM emp
 WHERE deptno IN (20, 30)
 GROUP BY job

->직업(job) 별로 급여(sal) 총합계를 구하는 예제이다.
GROUP BY 절의 칼럼은 SELECT 절에 존재해야 사용할 수 있다. SELECT 절에서 집계 함수를 제외한 칼럼을 GROUP BY 절에 기술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JOIN

join은 두개 의 테이블을 합칠 때사용하는 것이다.
종류로는 INNER JOIN(=JOIN), LEFT OUTER JOIN, RIGHT OUTER JOIN, OUTER JOIN이렇게 구분되어 있다.
참고 : https://cceeun.tistory.com/189

WHERE

if문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 아래처럼 FROM이랑 함께 쓰여서 구체적인 조건을 작성할때 쓴다.
SELECT * FROM TABLE
WHERE job = '사원';

HAVING

WHERE과 유사하다. select * from 테이블명 group by 필드명 having 조건절

둘의 차이

where은 기본적인 조건절로서 우선적으로 모든 필드를 조건에 둘 수 있다. 하지만 having은 group by 된 이후 특정한 필드로 그룹화 되어진 새로운 테이블에 조건을 줄 수 있다.

Having은 그룹화 또는 집계가 발생한 후 레코드를 필터링하는데 사용된다.
Where은 그룹화 또는 집계가 발생하기 전에 레코드를 필터링하는데 사용된다.

AND OR IN 참고

https://inforyou.tistory.com/28

SUM AVG COUNT 등등

https://sesok808.tistory.com/509

profile
신입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