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ype(conv)>>> conv.shape>>> conv[0][0]
img = cv2.line(img,(0,0),(511,511),(255,0,0),5)img = cv2.rectangle(img,(100,100),(300,500),(0,255,0),3)img = cv2.circle(img,(300,400),100,(0,0,255),2)cv2.putText(img,'입력할문자열',(10,50),cv2.FONT_HERSHEY_SIMPLEX,4,(255,255,255))import cv2
img = cv2.imread('black.png',cv2.IMREAD_COLOR) # 이미지 파일을 읽어옴. Flag: 이미지 파일을 읽을 때 옵션
img = cv2.rectangle(imt,(100,100),(300,400),(0,255,0),3) # 사각형 그리기. pt1:시작점 pt2: 끝점 thickness: 두께
cv2.imshow('black',img) # 화면에 이미지 파일 표시. Title: 창의 제목을 의미. image: cv2.imread()의 리턴값
cv2.waitKey(10000)

import cv2
img = cv2.imread('spot.png',cv2.IMREAD_GRAYSCALE)
h = img.shape[0]
w = img.shape[1]
print("The image dimension is %d x % d" % (w,h))
for i in rnage(0,h-1):
for j in range(0,w-1):
if img[i,j] == 255:
print(i,j)
cv2.imshow('spot',img)
cv2.waitKey(1000)





import cv2
import numpy as np
img = cv2.imread('cars.png')
hsv = cv2.cv2.cvtColor(img, cv2.COLOR_BGR2HSV)
lower_white = np.array([0,0,150]) # H(색상): 0-179 S(채도): 0-255 V(명도): 150-255
upper_white = np.array([179,255,255])
mask = cv2.inRange(hsv,lower_white,upper_white) # 범위에 포함되는 픽셀들은 흰색(255)으로, 그 외의 픽셀들은 검은색(0)으로 이진화한 grayscale 이미지를 만들어냄
cv2.imshow('line',mask)
cv2.waitKey(10000)


import cv2
vid = cv2.VideoCapture('small.avi')
while True:
ret,frame = vid.read()
if not ret:
break
# frame = cv2.cvtColor(frame,cv2.COLOR_BGR2GRAY) # 주석처리를 해제하면 동영상이 흑백으로 보인다.
if ret:
cv2.imshow('video',frame)
if cv2.waitKey(1) > 0:
break
vid.release()
cv2.destroyAllWindows()
실제 자율주행에선..
> 실제 자율주행 프로그램에선 #image를 Grayscale로 변환 대신 frame을 hsv처리 한 후 차선을 찾아서 그 차선의 위치를 계산을 한 후에 핸들을 얼마나 꺽을지 모터에 보낸 후 핸들을 꺽는다. 그 다음장을 받아선, 차선이 이렇게 움직이니 핸들을 조금 풀어야겠다 라는 계산을 한 후에 모터쪽에 명령을 보내고 그 다음장 계산을 반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