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OSI 7Layer

무지성개발자·2023년 8월 28일
0

OSI 7계층

OSI 7계층은 네트워크 통신 과정을 7단계로 쪼개서 설명하는 개념이다. OSI 7계층을 사용하는 이유는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눴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해도 어느 레벨의 문제인지 파악하기가 편하다는 점이다. 즉, 문제 이외의 레벨은 건들이지 않고 이상이 있는 레벨만 복구를 하면 된다.

1.물리계층(Phsical Layer)

물리계층은 가장 낮은 레벨로 장치간의 물리적 연결을 담당한다.

  • 데이터를 송신(send)할 때는 010101 같은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
  • 데이터를 수신(recieve)할 때는 전기적 신호를 0101010 같은 데이터로 변환.

데이터 링크 계층은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계층이며 오류 검출 및 회복을 위한 오류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 보내고 싶은 data에 시작과 끝을 알 수 있는 정보를 붙여준다.
  • 시작과 끝을 알 수 있는 정보가 붙음으로써 여러 data가 몰려와도 data가 섞이지 않고 올바르게 해석 할 수 있다.
  • data + 시작과 끝을 알 수 있는 정보 = frame 이라고 함.

3.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은 노드간 데이터를 전송 할 때 어떤 경로가 적합한지 결정한다. 이걸 라우팅이라고 한다.

  • 보내고 싶은 data에 수신자 IP를 붙여준다. 이걸 패킷이라고 한다.
  • 라우터는 IP를 보고 적합한 경로는 설정하고 다음 라우터 or 목적지로 전달한다.

4.전송 계층(Transport Layer)

전송 계층은 데이터를 목적 프로세스에 안전하게 도착하게 하는 계층이다. 보통 컴퓨터를 하면 프로그램을 하나만 띄워 놓지 않고 유튜브 + 게임 + @ 이런 식으로 여러개를 사용한다.

네트워크 계층에서 IP로 해당 컴퓨터에 data를 전달 받은 데이터를 어떤 프로세스로 보내야 하는지 정한다고 보면 된다.

데이터를 세그먼트 단위로 잘라서 전송한다.

  • 보내고 싶은 data에 포트번호를 붙임.
  • 데이터를 안전하게 송수신 했는지 신뢰성을 보장(TCP)
  • 상위 계층에서 받은 data를 여러개로 나누며 이걸 세그먼트라고 한다.
  • 오류 제어, 흐름제어 수행.

5.세션 계층(Session Layer)

세션 계층은 세션 유지 및 인증, 보안을 담당한다.

  • 동기화 기능을 제공함. 데이터를 보내다가 연결이 끊겨도 체크포인트를 사용해서 이어서 데이터를 다시 보내는 것을 말함.

6.프리젠테이션 계층(Presentation Layer)

프리젠테이션 계층은 데이터를 변환, 압축, 암호화/복호화 하는 계층이다.

  • 데이터를 통신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
  • 보낼 때는 암호화, 받을 때는 복호화를 함.
  • 데이터를 압죽해서 비트 수를 줄임.

7.애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Layer)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우리가 직접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계층으로 우리가 직접 사용하는 인터페이스다. 네트워크 통신을 어떤 방식으로 할 건지 결정한다.

  • 전송 계층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호스트 간 연결을 확립.
  •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간의 정보 교환, 전자 메일, 파일 전송 등의 서비스를 제공
  • 네트워크 통신을 어떤 방식으로 할 건지 정한다.(ex. HTTP, FTP, SMTP 등)

한 줄평 : 실제로는 OSI 7계층보다 TCP/IP Model을 더 많이 사용 된다.

참고 -
https://www.youtube.com/watch?v=1pfTxp25MA8&ab_channel=%EC%9A%B0%EC%95%84%ED%95%9C%ED%85%8C%ED%81%AC
https://www.geeksforgeeks.org/layers-of-osi-model/

profile
no-intelli 개발자 입니다. 그래도 intellij는 씁니다.

0개의 댓글